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3)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3)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 제 13 호

본문

武陵洞中次李子遠韻(무릉동중차이자원운)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무릉동에서 이자원의 시에 차운하다-

漠漠烟蘿黑(막막연라흑) 

자욱이 안개 낀 담쟁이덩굴 어둑하고,

西岑暝色沉(서잠명색침) 

서산은 황혼에 하늘빛이 깊어만 가며,

溪分鶴洞遠(계분학동원) 

시냇물은 먼 청학동에서 나누어 흘러,

谷到石門深(곡도석문심) 

골짝에 이르니 깊숙한 곳 석문이라네.

古寺遺僧住(고사유승주) 

오래된 절에는 스님이 남아서 머물고,

殘碑老蘚侵(잔비노선침) 

깨진 비석엔 오래된 이끼가 끼었으며,

孤雲千載事(고운천재사) 

천년 전에 고운의 업적을 생각하는데,

陳迹邈難尋(진적막난심) 

지난날의 자취 아득하여 찾기 어렵네.


子遠(자원) : 이문재(李文載.1615~1689). 조선 중기의 유 학자. 자:자원(子遠). 호:석동(石洞). 본관:전주(全州). 김 집(金集)의 문인. 『소학(小學)』과 『근사록(近思錄)』 에 전념하였다. 문집《석동유고(石洞遺稿)》.

蘿[여라 라] 여라(女蘿:선태류에 속하는 이끼). 담쟁이덩굴. 暝色(명색) : 황혼의 하늘빛. 

鶴洞(학동) : 청학동(靑鶴洞). 예로부터 전하여 오는 도인 (道人)들의 이상향(理想鄕). 경치가 아름답고 청학이 서식 한다고 한다.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에 “청학동(靑鶴洞)은 지리산 속에 있다. 진주에서는 서 쪽으로 1백 47리의 거리이다.”[靑鶴洞在智異山中距州西 一百四十七里]라고 했다. 

이 詩에서는 화개면(花開面) 쌍계사(雙磎寺) 위쪽 불일폭 포(佛日瀑布) 부근을 가리킨다.

石門(석문)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 磎寺) 입구의 바위가 양쪽에 문처럼 있다하여 석문(石門) 이라고 한다. 오른쪽 바위에“石門” 왼쪽 바위에“雙磎”4자 가 새겨져 있는데, 최치원(孤雲 崔致遠.857~?)의 친필이 라고 한다.

殘碑(잔비) : 깨어진 비석(碑石). 비바람을 견디고 오래 전(傳)하여 남아 있는 비석(碑石).

陳迹(진적) : 지난날의 자취.



※ 1655년(효종6) 10월 11일 쌍계사(雙磎寺)를 떠나 무릉 교(武陵橋)를 건너 신흥사(新興寺)의 옛터를 찾아가 능파 대(凌波臺) 주위를 둘러보았다. 거센 물결을 건너 너럭바 위에 이르렀다. 너럭바위 위에는 세이암(洗耳巖)이라는 세 글자가 새겨져 있는데, 글자체가 최치원(崔致遠)의 필 체(筆體)와 비슷하나 자세히 알 수가 없었다. 이에 자원 이문재(子遠 李文載)가 “武陵洞(무릉동)” 시(詩)를 지어 차운(次韻)하였다.


김지백[澹虛齋 金之白.1623(인조1)~1671(현종12)]. 

조선 중기 학자. 字:자성(子成). 號:담허재(澹虛齋). 本貫:부안( 扶安). 居:남원(南原). 文集《담허재집(澹虛齋集)》. 1648 년(인조26) 과거에 급제, 진사(進士), 사헌부 집의를 역임. 만년에는 고향 남원에서 후생들의 교육에 힘썼으며 학문 에만 정진하였다. 《유두류산기(遊頭流山記)》가 있다.

 

전체 111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

廣灘舟中(광탄주중)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廣灘舟中(광탄주중)김창흡(三淵 金昌翕)-큰 여울을 지나는 배 안에서-頭流山色遠蒼茫(두류산색원창망) 두류산 산빛은 머얼리 아득하게 바라보이…

제 30 호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3. 많고많은 가지들은 서로엉켜 행복하고 이웃사랑 보여주니 공생공존 모범이요 나무기둥 받쳐주는 생명근원 뿌리들은 땅을빚고 물을길러 낙락장송 키워낸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nb…

제 30 호

인생이란

시인 김중열

인생이란시인 김중열인생은 한떨기 풀꽃 처럼피었다 지네인생은 떠도는 구름처럼모였다 흩어지네 인생은 스쳐가는 바람처럼한번왔다 사라져 인생은 흐르는 강물처럼되돌아 올수없네 그러나 인생은 허공처럼영원한 사…

제 30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

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김창흡(三淵 金昌翕)-새 하동현에서 묵다-新邑河東窄(신읍하동착) 새로이 옮기어진 하동읍은 궁색하여,崇阿賣酒家(숭아매…

제 29 호

송림 사랑의 노래 (1)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1)시인 최증수1. 노래하며 즐겨보자 하동송림 아름다움 구석구석 신기하고 느낄수록 마음벅찬 푸른솔잎 푸른기운 붉은기둥 붉은열정 웃음으로 반겨주고 단심으로 안아준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 송림사…

제 29 호

영원한 것은

시인 김중열

영원한 것은시인 김중열멀고 험한 길도지나고 보면멋진 추억이 되고고난과 아픔을이겨내고 보면아름다운 삶이되지요아무리 이쁜 꽃도시들지 않고 피어있으면 사랑받지 못하듯만남과 이별의 물레방아가 우리에게 기대와희망을 안겨주듯이 세상 영원한 것이 있다면 따뜻한 사…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爰及杖屨跡(원급장구적) 이에 선생이 머무른 이곳에 이르니, 黌宇啓荒…

제 28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 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건곤일척의 승부수를 못 던진 것이…

제 28 호

세상사 눈물이

시인 김중열

세상사 눈물이시인 김중열물 흐르는 계곡에서 애창곡을 불러 본 일이 있겠지 답답한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ㅡ공중화장실에서분노와 절망으로실컷 울어 본 일이 있는가소리 없이 눈물만 ㅡ첫사랑이 오래전소천했다는 뒤늦은 소식에그날 밤 어떻게 지새웠는가후회스런 감정이 ㅡ바쁘다…

제 2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何誅喬桐主(하주교동주) 어찌 연산군을 탓할 수가 있겠는가&…

제 27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7 호

이런 저런 날

시인 김중열

이런 저런 날시인 김중열우리에게그런 날도 있었고 우리에게이런 날도 있었다우리에게언제 저런 날이있었는지꿈같은 이야기지나간 세월은추억속에 묻히고오늘의 시간은냉혹하지만내일의 시간은행복할꺼야오늘 내리는 비새생명이 꿈틀거리고 내일 사랑의 빛이 우리곁으…

제 27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