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 제 10 호

본문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雙磎寺(쌍계사)




-쌍계사-

雙水交流一逕微(쌍수교류일경미) 

두 시냇물은 어울려 흐르며 오솔길 희미하고,

古壇香桂襲秋衣(고단향계습추의) 

옛 단의 계수나무 향기는 가을옷에 스며드네,

孤雲去後客尋寺(고운거후객심사) 

고운 선생 떠난 후로 나그네 절집을 찾으니,

落木飛時僧掩扉(낙목비시승엄비) 

나뭇잎 날아 떨어질 때 스님은 문을 닫았네.

巖竇靈禽巢寂寞(암두영금소적막) 

바위 굴의 신령스러운 새 둥지는 적막하고,

石門遺筆跡依희(석문유필적의희) 

석문 바위에 남긴 고운의 글씨는 희미하네,

武陵橋下花開口(무릉교하화개구) 

무릉교 다리 아랫마을은 화개골의 입구이니,

疑帶當年玉笛歸(의대당년옥적귀) 

당년에 옥피리 불면서 돌아가는 듯 한다네.


雙磎寺(쌍계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 

724년(신라 성덕왕 23)에 의상대사(義湘大師)의 제자인 삼법(三 法)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정상(頂相)을 모신 뒤 옥천사(玉泉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840년 진감선사( 眞鑑禪師)가 중창, 886년 정강왕(定康王) 때 쌍계사(雙磎寺)로 절 이름을 바꾸고, 1632년에 벽암(碧巖)선사가 중건하였다. 孤雲(고운) : 신라시대 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字.

掩扉(업비) : 사립문을 걸어 잠그다.

巖竇(암두) : 바윗굴. 

靈禽(영금) : 신령스러운 새.

石門(석문)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磎寺) 입 구의 바위가 양쪽에 문처럼 있다하여 석문(石門)이라고 한다. 오 른쪽 바위에“石門” 왼쪽 바위에“雙磎”4자가 새겨져 있는데, 최치 원(孤雲 崔致遠.857~?)의 친필이라고 한다.

遺筆(유필) : 죽은 사람이 생전(生前)에 써서 남겨 놓은 글씨.



※ 1655년(효종6) 10월 9일. 연곡사를 구경하고 화개면(花開面) 덕은리(德隱里) 영당(影堂)에 있는 정여창(一蠹 鄭汝昌) 선생이 살던 옛터를 살펴보고, 저녁 무렵에 화개동을 지나 위쪽으로 올라 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는 곳에 이르니, 곧 이른바 쌍계(雙溪)라 는 곳이었다. 과연 석문이 있는데 큰 네자 석각이 동네 어귀의 두 바위에 새겨져 있었다. 강한 필치가 마모되지 않아, 마치 어제 쓴 듯하여, 최치원의 진면목을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드디어 쌍계사(雙溪寺)에 들어가 그곳 승려를 따라 옛 자취를 두 루 둘러보고,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를 어루만져 보았다. 비 문을 짓고 쓴 것이 또 모두 최치원(孤雲 崔致遠)의 솜씨이기 때문 이다.

오랫동안 흥망성쇠 겪으며 인간사가 무수히 바뀌었는데, 남겨진 자취 가운데 물어볼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의 비석뿐이니, 또한 충분히 옛 감회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하여 詩 한 수를 읊었다.

 

전체 76 건 - 1 페이지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산존불상 입상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산존불상 입상

제 21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1)

雙溪寺(쌍계사)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1)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雙溪寺(쌍계사)   노광무(懼菴 盧光懋)   -쌍계사-遠上雙溪水上臺(원상쌍계수상대) 쌍계사는…

제 21 호

바람 불어 좋은 날

시인 최증수

바람 불어 좋은 날시인 최증수아가야!바람 불어 좋은 날은 송림에 가자.살랑대며 불어오는 바람결에머리 감고 목욕하고 세심하니나는야 기분 좋은 송림의 친구.바람이 흔들어도 곧게 자란 소나무가웃으며 두 손 들어 반기는솔숲 아름다운 송림에 가면때마침 강나루 지난 강바람이내 마…

제 21 호

애간장

시인 김중열

애간장시인 김중열산이 탄다들이 집이 탄다애간장이 탄다눈물도 강물도 말랐다검은 연기가 하늘을 가려길마저 끊겼다빛 잃은 마을은공포와 분노,삶의 몸부림으로 피눈물이 고였다강풍인지魔風인지 잿더미남겨놓고 어디로원수 진 일 없는 너 도대체무슨 까닭으로 恨 맺힌 일 저질렀나우리에 …

제 21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0)

聽溪巖(청계암)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0)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노광무(懼菴 盧光懋)聽溪巖(청계암)-청계암-看盡頭流千萬峯(간진두류천만봉) 두류산 천만 봉우리 모두 다 돌아보고,閒從流水聽雷鍾(한종유수청뢰…

제 20 호

숲에 다가간다

시인 최증수

숲에 다가간다시인 최증수송림의 소나무가 초록에 감겨실 같은 푸른 바람에 흔들릴 때숲이 다정히 내 가까이 다가오면 나는 일기죽일기죽 힘없이 걷다가그만 놀라 작은 눈을 크게 뜬다.숲이 좋아라하며 나를 반기는 송림에서 오직 나 혼자만의비밀통로를 비밀이 아닌 듯 걸으…

제 20 호

歷史의 교훈

시인 김중열

歷史의 교훈시인 김중열밀려오는파도의 함성수만년 수천만년바다는 한결같이몸부림치며 소리쳤다갈매기와 함께힘없이 떠밀려온조개들의 종말수천만년 수억년부딪치고 부서지면서孤島/고도와 함께모래알처럼갈기갈기 찢겨눈부시게 반짝이며해변에 모였다멍들었던고난과 슬픔 희망의 밀알이 되어 하-얗…

제 20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새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새참

제 1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9)

次籠山齋韻(차농산재운)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9)次籠山齋韻(차농산재운)노광무(懼菴 盧光懋)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농산재의 시에 차운하다-主翁何事棲雲巒(주옹하사서운만) 주인장은 어이하여 구름 낀 산에 사는지,惟恐雌黃到此間(유공자황도차간)&nbs…

제 19 호

낙락장송을 보며

시인 최증수

낙락장송을 보며시인 최증수거목은 위대하기에 빛나고 아름답다.크고 우람한 정간 보니 머리 숙여지고수백 년 세월이긴 거룩함에 마음 뜨겁다.뻗어나간 가지들도 너무 커그 위용과 애애에 가슴 뛰는데팔십 한뉘를 산 나는 탑본처럼 초라하다.한창 청운의 꿈 키울 때낙락장송을 스승 삼…

제 19 호

“벚꽃 필 무렵이면”

시인 김중열

“벚꽃 필 무렵이면”시인 김중열전방 부대  보름 휴가증 들고줄달음쳐 온 고향왜 그리도 멀고 멀었는지벚꽃이 만개했던 그날의 기쁨이것저것 숨막히게 짜놓은 휴가일정도 어설프게 덧없이  날려보내고어느새헤여져야만 했던그날의 슬픔벚꽃은 봄비를 맞으며 춤…

제 19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화조도 2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화조도 2

제 1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7)

노광무(懼菴 盧光懋)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登碧霄嶺(등벽소령)-벽소령에 올라-萬山一路杳難分(만산일로묘난분) 깊은 산길 하나 아득하여 분간하기 어려워,頭上靑天脚下雲(두상청천각하운) 머리 위엔 푸른 하늘이요 발밑엔 구름으로,步步登嶺塵世遠(보보등령진세원) …

제 18 호

송림공원의 태양송

시인 최증수

송림공원의 태양송시인 최증수빨강으로 붉디 붉어야 태양송이다.제멋으로 아름다워지는 소나무가밝은 햇살받아 반짝이듯 더욱 빨개지면그제야 기적의 빨간 태양송이 된다.붉음은 스스로 타오르는 불꽃이다.껍질이 붉을수록 그리고 얇을수록순하고 순한 밝은 붉은색의 赤身보이니스스로 빨개지…

제 18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