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 제 10 호

본문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雙磎寺(쌍계사)




-쌍계사-

雙水交流一逕微(쌍수교류일경미) 

두 시냇물은 어울려 흐르며 오솔길 희미하고,

古壇香桂襲秋衣(고단향계습추의) 

옛 단의 계수나무 향기는 가을옷에 스며드네,

孤雲去後客尋寺(고운거후객심사) 

고운 선생 떠난 후로 나그네 절집을 찾으니,

落木飛時僧掩扉(낙목비시승엄비) 

나뭇잎 날아 떨어질 때 스님은 문을 닫았네.

巖竇靈禽巢寂寞(암두영금소적막) 

바위 굴의 신령스러운 새 둥지는 적막하고,

石門遺筆跡依희(석문유필적의희) 

석문 바위에 남긴 고운의 글씨는 희미하네,

武陵橋下花開口(무릉교하화개구) 

무릉교 다리 아랫마을은 화개골의 입구이니,

疑帶當年玉笛歸(의대당년옥적귀) 

당년에 옥피리 불면서 돌아가는 듯 한다네.


雙磎寺(쌍계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 

724년(신라 성덕왕 23)에 의상대사(義湘大師)의 제자인 삼법(三 法)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정상(頂相)을 모신 뒤 옥천사(玉泉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840년 진감선사( 眞鑑禪師)가 중창, 886년 정강왕(定康王) 때 쌍계사(雙磎寺)로 절 이름을 바꾸고, 1632년에 벽암(碧巖)선사가 중건하였다. 孤雲(고운) : 신라시대 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字.

掩扉(업비) : 사립문을 걸어 잠그다.

巖竇(암두) : 바윗굴. 

靈禽(영금) : 신령스러운 새.

石門(석문)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磎寺) 입 구의 바위가 양쪽에 문처럼 있다하여 석문(石門)이라고 한다. 오 른쪽 바위에“石門” 왼쪽 바위에“雙磎”4자가 새겨져 있는데, 최치 원(孤雲 崔致遠.857~?)의 친필이라고 한다.

遺筆(유필) : 죽은 사람이 생전(生前)에 써서 남겨 놓은 글씨.



※ 1655년(효종6) 10월 9일. 연곡사를 구경하고 화개면(花開面) 덕은리(德隱里) 영당(影堂)에 있는 정여창(一蠹 鄭汝昌) 선생이 살던 옛터를 살펴보고, 저녁 무렵에 화개동을 지나 위쪽으로 올라 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는 곳에 이르니, 곧 이른바 쌍계(雙溪)라 는 곳이었다. 과연 석문이 있는데 큰 네자 석각이 동네 어귀의 두 바위에 새겨져 있었다. 강한 필치가 마모되지 않아, 마치 어제 쓴 듯하여, 최치원의 진면목을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드디어 쌍계사(雙溪寺)에 들어가 그곳 승려를 따라 옛 자취를 두 루 둘러보고,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를 어루만져 보았다. 비 문을 짓고 쓴 것이 또 모두 최치원(孤雲 崔致遠)의 솜씨이기 때문 이다.

오랫동안 흥망성쇠 겪으며 인간사가 무수히 바뀌었는데, 남겨진 자취 가운데 물어볼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의 비석뿐이니, 또한 충분히 옛 감회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하여 詩 한 수를 읊었다.

 

전체 45 건 - 1 페이지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전통문양 목판 용 박쥐 구름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전통문양 목판 용 박쥐 구름

제 13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3)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武陵洞中次李子遠韻(무릉동중차이자원운)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무릉동에서 이자원의 시에 차운하다-漠漠烟蘿黑(막막연라흑) 자욱이 안개 낀 담쟁이덩굴 어둑하고,西岑暝色沉(서잠명색침) 서산은 황혼에 하늘빛이 깊어만 가며,溪分鶴洞遠(계분학동원)&nb…

제 13 호

나의 어머니

시인 최증수

친구와 싸워 코피 흘림 보시고지지리 못남은 제 덜된 탓이고자식 구실 제대로 못함 보시고효심 모자람은 제 못난 탓이지만한 번 삶은 보리밥 먹는 걸 보시고 배고픔 못 견딤은 당신 탓이며긴 콩밭 맨다고 씩씩댐 보시고다부지지 못함은 당신 탓이라.전주 최씨 가문 빛낼 …

제 13 호

첫눈 내린 아침에

시인 김중열

새벽녁에 함박눈이 내렸다 꿈속에 난 잠들고황금빛에 설레였던 가슴차분히 안기어누군가 이내 남긴 발자욱따라 은빛 오솔길 걷네누가 이리도순결스런 축복을 사랑으로 주셨나

제 13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2)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武陵橋(무릉교)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무릉교-千載秦餘一谷開(천재진여일곡개) 오랜 세월 선경이 한 골짜기에 펼쳐져 있어,武陵橋下客筇回(무릉교하객공회) 나그네 무릉교 아래서 지팡이 짚고 돌아오네.仙區自有前緣在(선구자유전연재) 신선의 고장은 본래 지…

제 12 호

아버지를 기억하며

시인 최증수

조용한 송림 속을 외롭게 혼자 걷는다.문득 옛날에 아버지께서도 이곳을직접 다녀가셨을까 상상해본다.어느 계절, 어떤 날, 누구와어떤 일로 어떻게 오셨을까아버지의 사진 한 장 없어서인지지금은 아버지의 얼굴도 모르는 자식이다. 아버지를 편히 모신 의자는 못돼도후회도 세월가면…

제 12 호

술 한병 준비했다

시인 김중열

오늘 밤은뜬 눈으로 지내고 싶어 막걸리 한병두부김치를 준비했다특별한 일은 없었지만 그냥 그러고 싶었다숨 가쁘게 살아 왔는데지난 세월이너무 허망해지난 세월을 다시금 돌이켜 보고 싶어서그랬다내일 밤도지난 추억 때문에 그렇게지내고 싶다

제 12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1)

雙磎寺次別機上人韻(쌍계사차별기상인운)

김지백(澹虛齋 金之白)雙磎寺次別機上人韻(쌍계사차별기상인운)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쌍계사에서 기(機) 상인과 이별하며 차운하다-休妨逢勝輒淹留(휴방봉승첩엄류) 좋은 만남은 오랫동안 머물러도 해롭지 않고,處處舟崖曲曲樓(처처주애곡곡루) 언덕 곳곳…

제 11 호

송림 지킴이

시인 최중수

그때 나는 송림을 사랑했으므로솔향기를 가슴에 가득 품을 때는센 비바람이 나뭇가지 부려 뜨려도마음을 붙잡고 송림을 지켜야했다.그때 나는 송림을 사랑했으므로보살피기 싫증나고 짜증낼 때도이 핑계 저 핑계 꾸며대지 말고꼭 그렇게 송림을 지켜야했다.그때 나는 송림을 사랑했으므로…

제 11 호

시인 김중열

한점의 구름되고한방울 비가 내리기 위해 얼마나 많은 물안개가모여 들었던가수많은 생명체 지켜온 바다위해 얼마나 많은 강물들이 흘러 들었던가한떨기 꽃을 피우기 위해 얼마나 오랜침묵 지켜 왔던가오랜 세월 한순간의 사랑 위해 매미는 기지개 …

제 11 호

열람중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김지백(澹虛齋 金之白)雙磎寺(쌍계사)-쌍계사-雙水交流一逕微(쌍수교류일경미) 두 시냇물은 어울려 흐르며 오솔길 희미하고,古壇香桂襲秋衣(고단향계습추의) 옛 단의 계수나무 향기는 가을옷에 스며드네,孤雲去後客尋寺(고운거후객심사) 고운 선생 떠난 후로…

제 10 호

해질녘의 송림공원

시인 최증수

해질녘의 송림공원시인 최증수신비한 솔숲이 만든 저녁놀을 타고해가 기울면 마음이 급해지는지산그늘이 내리자 어스레한 빛은 뒷걸음질치고 다정하던 풀벌레소리 들리지 않자나의 눈과 귀도 어두워지며지친 사람들은 서둘러 송림을 떠난다.먼데 불빛이 보이면 음기가 살아나보이지 않던 것…

제 10 호

술 한 병 준비했다

시인 김중열

술 한 병 준비했다시인 김중열오늘 밤은뜬 눈으로 지내고 싶어 막걸리 한병두부김치를 준비했다특별한 일은 없었지만 그냥 그러고 싶었다숨 가쁘게 살아 왔는데지난 세월이너무 허망해지난 세월을 다시금 돌이켜 보고 싶어서그랬다내일 밤도지난 추억때문에 그렇게지내고 싶다

제 10 호

조선시대 사천왕상 반각판화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제 10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8)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김지백(澹虛齋 金之白)過一蠹先生舊墟(과일두선생구허)-일두 선생 옛터를 지나며-宏高德業想嵯峨(굉고덕업상차아) 덕업이 크고 높아 우뚝 솟은 모습을 상상하니,陳跡荒凉咽逝波(진적황량인서파) 옛 자취 황량하여 흐르는 물결에 목이 메이네.天未喪斯人有作(천미상사인…

제 9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