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0)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 제 10 호

본문


김지백(澹虛齋 金之白)

雙磎寺(쌍계사)




-쌍계사-

雙水交流一逕微(쌍수교류일경미) 

두 시냇물은 어울려 흐르며 오솔길 희미하고,

古壇香桂襲秋衣(고단향계습추의) 

옛 단의 계수나무 향기는 가을옷에 스며드네,

孤雲去後客尋寺(고운거후객심사) 

고운 선생 떠난 후로 나그네 절집을 찾으니,

落木飛時僧掩扉(낙목비시승엄비) 

나뭇잎 날아 떨어질 때 스님은 문을 닫았네.

巖竇靈禽巢寂寞(암두영금소적막) 

바위 굴의 신령스러운 새 둥지는 적막하고,

石門遺筆跡依희(석문유필적의희) 

석문 바위에 남긴 고운의 글씨는 희미하네,

武陵橋下花開口(무릉교하화개구) 

무릉교 다리 아랫마을은 화개골의 입구이니,

疑帶當年玉笛歸(의대당년옥적귀) 

당년에 옥피리 불면서 돌아가는 듯 한다네.


雙磎寺(쌍계사) : 대한불교조계종 제13교구 본사. 

724년(신라 성덕왕 23)에 의상대사(義湘大師)의 제자인 삼법(三 法)이 당나라에서 귀국하여 육조혜능(六祖慧能)의 정상(頂相)을 모신 뒤 옥천사(玉泉寺)라는 이름으로 창건했다. 840년 진감선사( 眞鑑禪師)가 중창, 886년 정강왕(定康王) 때 쌍계사(雙磎寺)로 절 이름을 바꾸고, 1632년에 벽암(碧巖)선사가 중건하였다. 孤雲(고운) : 신라시대 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字.

掩扉(업비) : 사립문을 걸어 잠그다.

巖竇(암두) : 바윗굴. 

靈禽(영금) : 신령스러운 새.

石門(석문)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磎寺) 입 구의 바위가 양쪽에 문처럼 있다하여 석문(石門)이라고 한다. 오 른쪽 바위에“石門” 왼쪽 바위에“雙磎”4자가 새겨져 있는데, 최치 원(孤雲 崔致遠.857~?)의 친필이라고 한다.

遺筆(유필) : 죽은 사람이 생전(生前)에 써서 남겨 놓은 글씨.



※ 1655년(효종6) 10월 9일. 연곡사를 구경하고 화개면(花開面) 덕은리(德隱里) 영당(影堂)에 있는 정여창(一蠹 鄭汝昌) 선생이 살던 옛터를 살펴보고, 저녁 무렵에 화개동을 지나 위쪽으로 올라 가 두 물줄기가 서로 만나는 곳에 이르니, 곧 이른바 쌍계(雙溪)라 는 곳이었다. 과연 석문이 있는데 큰 네자 석각이 동네 어귀의 두 바위에 새겨져 있었다. 강한 필치가 마모되지 않아, 마치 어제 쓴 듯하여, 최치원의 진면목을 능히 짐작할 수 있었다.

드디어 쌍계사(雙溪寺)에 들어가 그곳 승려를 따라 옛 자취를 두 루 둘러보고,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를 어루만져 보았다. 비 문을 짓고 쓴 것이 또 모두 최치원(孤雲 崔致遠)의 솜씨이기 때문 이다.

오랫동안 흥망성쇠 겪으며 인간사가 무수히 바뀌었는데, 남겨진 자취 가운데 물어볼 수 있는 것은 오직 하나의 비석뿐이니, 또한 충분히 옛 감회를 느낄 수 있었다. 그리하여 詩 한 수를 읊었다.

 

전체 111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

廣灘舟中(광탄주중)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廣灘舟中(광탄주중)김창흡(三淵 金昌翕)-큰 여울을 지나는 배 안에서-頭流山色遠蒼茫(두류산색원창망) 두류산 산빛은 머얼리 아득하게 바라보이…

제 30 호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3. 많고많은 가지들은 서로엉켜 행복하고 이웃사랑 보여주니 공생공존 모범이요 나무기둥 받쳐주는 생명근원 뿌리들은 땅을빚고 물을길러 낙락장송 키워낸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nb…

제 30 호

인생이란

시인 김중열

인생이란시인 김중열인생은 한떨기 풀꽃 처럼피었다 지네인생은 떠도는 구름처럼모였다 흩어지네 인생은 스쳐가는 바람처럼한번왔다 사라져 인생은 흐르는 강물처럼되돌아 올수없네 그러나 인생은 허공처럼영원한 사…

제 30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

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김창흡(三淵 金昌翕)-새 하동현에서 묵다-新邑河東窄(신읍하동착) 새로이 옮기어진 하동읍은 궁색하여,崇阿賣酒家(숭아매…

제 29 호

송림 사랑의 노래 (1)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1)시인 최증수1. 노래하며 즐겨보자 하동송림 아름다움 구석구석 신기하고 느낄수록 마음벅찬 푸른솔잎 푸른기운 붉은기둥 붉은열정 웃음으로 반겨주고 단심으로 안아준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 송림사…

제 29 호

영원한 것은

시인 김중열

영원한 것은시인 김중열멀고 험한 길도지나고 보면멋진 추억이 되고고난과 아픔을이겨내고 보면아름다운 삶이되지요아무리 이쁜 꽃도시들지 않고 피어있으면 사랑받지 못하듯만남과 이별의 물레방아가 우리에게 기대와희망을 안겨주듯이 세상 영원한 것이 있다면 따뜻한 사…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爰及杖屨跡(원급장구적) 이에 선생이 머무른 이곳에 이르니, 黌宇啓荒…

제 28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 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건곤일척의 승부수를 못 던진 것이…

제 28 호

세상사 눈물이

시인 김중열

세상사 눈물이시인 김중열물 흐르는 계곡에서 애창곡을 불러 본 일이 있겠지 답답한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ㅡ공중화장실에서분노와 절망으로실컷 울어 본 일이 있는가소리 없이 눈물만 ㅡ첫사랑이 오래전소천했다는 뒤늦은 소식에그날 밤 어떻게 지새웠는가후회스런 감정이 ㅡ바쁘다…

제 2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何誅喬桐主(하주교동주) 어찌 연산군을 탓할 수가 있겠는가&…

제 27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7 호

이런 저런 날

시인 김중열

이런 저런 날시인 김중열우리에게그런 날도 있었고 우리에게이런 날도 있었다우리에게언제 저런 날이있었는지꿈같은 이야기지나간 세월은추억속에 묻히고오늘의 시간은냉혹하지만내일의 시간은행복할꺼야오늘 내리는 비새생명이 꿈틀거리고 내일 사랑의 빛이 우리곁으…

제 27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