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6)
노광무(懼菴 盧光懋)
- 제 16 호
본문
碧霄嶺父子巖(벽소령부자암)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
-벽소령 부자암에서-
父子嵒高碧峀天(부자암고벽수천)
부자암 높다랗고 푸른 산은 하늘에 솟아,
如慈如孝境依然(여자여효경의연)
인자하고 효성스런 땅은 전과 다름없네.
兩親不老諸男少(양친불로제남소)
양친은 늙지 않고 아들들은 많지 않으니,
却羡相依萬億年(각선상의만억년)
오랜 세월 서로 의지하니 부럽기만 하네.
碧宵嶺(벽소령.1,350m).
화개면(花開面)과 함양군(咸陽郡) 마천면(馬川面) 사이에 위치한 고개다.
벽소령에서 바라보는 달 풍경은 매우 아름다워 이를 벽소 명월(碧霄明月)이라고 하며 지리산 십경(智異山 十景)중 하나이다.
父子巖(부자암) : 함양군(咸陽郡) 마천면(馬川面) 벽소령 (碧宵嶺) 고개에 있는 바위.
형제봉(兄弟峰)이라고도 한다.”
碧峀(벽수) : 푸른 산봉우리. 푸른 산.
峀[산골 수] : 산봉우리. 산굴(山窟)
慈孝(자효) : 어버이의 자애(慈愛)와 자식(子息)의 효도( 孝道)로 부자간(父子間)의 사랑을 이르는 말.
자식을 사랑하고 어버이에게 효도를 다함.
却羡(각선) : 오히려 부러워라.
相依(상의) : 서로 의지하다.
萬億年(만억년) : 무궁한 세월. 끝없이 긴 세월.
※ 함양군(咸陽郡) 지곡면(池谷面) 개평(介坪)에 사는 조 선 후기 선비 노광무[懼庵 盧光懋.1808(순조8)~1893(고 종30)]는 1848년 4월 29일 여러 벗과 함께 함양(咸陽)을 출발하여 의탄(義灘), 마천(馬川), 영원사(靈源寺)를 거쳐 5월 2일에는 벽소령(碧宵嶺)을 넘어, 3일에는 칠불사(七 佛寺), 4일에는 신흥사(神興寺)의 옛터, 5일에는 화개(花 開) 쌍계사(雙磎寺)를 유람하고, 6일에는 덕은동(德隱洞) 과 악양(岳陽) 취적대(取適臺)와 침호정(枕湖亭)을 구경 하고, 7일에는 양보(良甫) 영계서원(永溪書院)에 도착하 여 정여창(一蠹 鄭汝昌.1450∼1504)선생을 참배(參拜)하 고, 8일에 산청(山淸) 덕천서원(德川書院)을 거쳐 함양으 로 귀가(歸家)하였다.
이때 쓴 《遊方丈記(유방장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