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역자(譯者) 정경문(茗谷 鄭慶文)
- 제 7 호
본문
권방(鶴林 權訪) 遊靑鶴洞(유청학동) 3-3
懍乎悄乎難久居(늠호초호난구거) 늠름하고 엄하시어 오래 머무르기 어려워,
拂衣笑出南山阿(불의소출남산아) 웃으며 옷을 차려입고 남산 언덕을 나가네.
蟾湖綠波入望中(섬호록파입망중) 섬진강의 푸른 물결은 눈앞에 들어오고,
白雲山影沈蛟宮(백운산영침교궁) 백운산의 산 그림자는 섬진강에 가라앉네,
朋更入道士菴(휴붕갱입도사암) 벗들과 함께 다시금 도사암으로 들어가니,
孤雲一去尋無蹤(고운일거심무종) 고운이 한번 떠난 뒤엔 찾을 길이 없구나.
師菴歸來細路尋(사암귀래세로심) 오솔길을 찾아서 국사암으로 돌아오는데,
忽逢驚兔出篁林(홀봉경토출황림) 별안간 놀란 토끼가 대나무 숲에서 나오네.
會待遍踏頭流勝(회대편답두류승) 두류산 승경을 두루 다니기를 기다리면서,
仙槎擬泛滄溟深(선사의범창명심) 깊은 바다에 신선 뗏목을 띄워볼까 하노라.
懍乎(늠호) : 늠름하고 용감함. 悄乎(초호) : 태도가 엄한 모양.
笑出(소출) : 웃으면서 달려 나간다. 阿[언덕 아] 언덕, 고개,
蟾湖(섬호) : 하동읍(河東邑) 갈마산(渴馬山) 섬호정(蟾湖亭)에서 섬진강(蟾津江)을 바라보면 강(江)이 호수(湖水)처럼 보인다고 하여
섬호(蟾湖)라 하였다.
綠波(녹파) : 푸른 물결. 白雲山(백운산) : 전남 광양시 다압면·옥룡면·진상면의 경계에 있는 산. 높이 1,222m.
蛟宮(교궁) : 용궁(龍宮)과 같은 뜻으로, 전하여 대강(大江), 대해(大海)의 뜻으로 쓰인다. 이 시에서는 섬진강(蟾津江)을 뜻함.
道士菴(도사암) : 화개면(花開面) 운수리(雲樹里) 쌍계사(雙磎寺) 동쪽 산기슭에 있었던 암자.《晋陽誌》
孤雲(고운) : 통일신라시대 학자이며 문장가인 최치원(崔致遠)의 자(字).
師菴(사암) : 국사암(國師庵). 화개면 운수리에 있는 쌍계사(雙磎寺)의 암자(庵子). 724년(신라 성덕왕 23)에 삼법스님이 개창(開創)한 것으로 그 뒤 840년(신라 문성왕 2년)에 진감국사(眞鑑國師)가 중건(重建)하여 이곳에 계셨다고 하여 국사암이라 전한다. 歸來(귀래) : 돌아오다. 細路(세로) : 좁은 길. 오솔길. 忽逢(홀봉) : 별안간. 篁林(황림) : 대나무 숲.
會待(회대) : 기다리다. 遍踏(편답) : 널리 돌아다님. 仙槎(선사) : 은하수로 가는 신선의 뗏목이라는 뜻으로, 성사(星槎)라고도 한다. 滄溟(창명) : 넓고 큰 바다.
※ 1767년 12월13일. 완폭대(玩瀑臺), 불일폭포(佛日瀑布), 용추(龍湫), 불일암(佛日菴)을 구경하고 험한 벼랑길을 따라 내려가는데 양 절벽에서 돌이 굴러떨어지는 소리가 우렛소리처럼 골짜기를 진동하였다. 작은 돌은 구슬이 쟁반에 구르는 것 같았다. 내려오는 동안에도 크고 작은 돌들이 계속하여 굴러떨어졌다. 도사암(道士菴)을 거처 머물렀던 국사암(國師庵)으로 돌아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