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역자(譯者) 정경문(茗谷 鄭慶文)
  • 제 6 호

본문



권방(鶴林 權訪) 遊靑鶴洞(유청학동) 3-2




- 청학동에서 노닐며 -

玩瀑臺前龍湫秋(완폭대전룡추추) 완폭대 앞에 있는 용추는 가을철이어서, 

攀援桂樹聊淹留(반원계수료엄류) 계수나무 부여잡고서 편히 오래 머무노라. 

千古狂塵來不得(천고광진래부득) 오랜 세월 속세 홍진 여기 오지 못하여서, 

令人淸氣生颼颼(영인청기생수수) 맑은 기운이 사람에게 솔솔 일어나게 하네. 

老僧跪進松葉茶(노승궤진송엽차) 노승은 꿇어앉아 송엽차를 달여와 마시니, 

忽驚牙頰酸風過(홀경아협산풍과) 입 안에 시큼한 바람이 지나 깜짝 놀랐네. 

歷井捫箕三歎息(역정문기삼탄식) 높고 험한 지역을 지나며 세 번 탄식하고, 

蒯緱彈劒唱悲歌(괴구탄검창비가) 노끈 감은 칼 두드리며 슬픈 노래 부르네.




玩瀑臺(완폭대/翫瀑臺) : 화개면(花開面) 쌍계사(雙磎寺) 북쪽 불일암(佛日菴) 앞에 불일협곡(佛日峽谷)이 내려다보이는 대(臺).《河東誌續修》 

龍湫(용추) : 불일폭포(佛日瀑布) 아래 있는 소(沼)로 청학이 깃들어 산다고 한다.        攀援(반원) : 휘어잡고 의지(依支)하거나 기어 올라감. 

桂樹(계수) : 계수나무.      狂塵(광진) : ‘미친 먼지’로 속세(俗世) 홍진(紅塵)을 뜻함.    淸氣(청기) : 밝은 기운(氣運). 맑은 기운.

颼颼(수수) : 바람소리, 바람이 솔솔 부는 소리.      跪進(궤진) : 앞으로 나아가 무릎 꿇음. 

松葉茶(송엽차) : 소나무 잎을 우린 차. 솔잎차.

忽驚(홀경) : 깜짝 놀라다. 갑자기 놀라다. 

牙頰(아협) : 입 안.

歷井捫參(역정문참) : 정성(井星)을 지나고 삼성(參星)을 만진다는 뜻으로, 높고 험준한 지역을 통과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인데, 

이백(李白)의 “삼성을 만지고 정성을 지나 우러러 숨을 몰아쉬고, 손으로 가슴을 어루만지며 앉아서 길이 탄식하네.

[捫參歷井仰脅息 以手拊膺坐長歎]”라고 하였다. 《李太白集 卷2 蜀道難》 

蒯緱(괴구) : 칼자루를 노끈으로 감은 허름한 칼이라는 뜻.

※ 1767년 12월2일 쌍계사와 국사암에서 11일간 체류한 후, 13일 청학동을 찾아 국사암을 출발하여 완폭대(玩瀑臺)에 도착하였다. 동쪽 봉우리의 허리에 

불일폭포(佛日瀑布)가 일천 척이나 거꾸로 떨어지며 천둥 벼락이 치는 듯 흰 눈이 흩날리는 듯하였다. 불일폭포(佛日瀑布)와 龍湫(용추)를 구경하고 

“불일암(佛日菴)에 들어가니 참선하는 여러 스님이 있었는데 송엽차(松葉茶)를 달여와 마셨다.

[入佛日菴 參禪數僧席其間 進松葉茶]” 잠시후 “불일암을 나와 완폭대(玩瀑臺)에 앉았는데 해그림자가 기울어도 떠날 수 없었다. 

대체로 그윽한 풍치와 빼어난 경치는 다른 산이 미칠 수 없었다. 천지간에 과연 신선이 있다면 반드시 이곳을 버리고 다른 곳에 살지는 않을 것이다. 

[出菴坐臺 移晷不能去  葢其幽致絶景  非他山所可及  天地間果有靈仙 必不舍此他居]”라고 하였다.

 

전체 72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0)

聽溪巖(청계암)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0)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노광무(懼菴 盧光懋)聽溪巖(청계암)-청계암-看盡頭流千萬峯(간진두류천만봉) 두류산 천만 봉우리 모두 다 돌아보고,閒從流水聽雷鍾(한종유수청뢰…

제 20 호

숲에 다가간다

시인 최증수

숲에 다가간다시인 최증수송림의 소나무가 초록에 감겨실 같은 푸른 바람에 흔들릴 때숲이 다정히 내 가까이 다가오면 나는 일기죽일기죽 힘없이 걷다가그만 놀라 작은 눈을 크게 뜬다.숲이 좋아라하며 나를 반기는 송림에서 오직 나 혼자만의비밀통로를 비밀이 아닌 듯 걸으…

제 20 호

歷史의 교훈

시인 김중열

歷史의 교훈시인 김중열밀려오는파도의 함성수만년 수천만년바다는 한결같이몸부림치며 소리쳤다갈매기와 함께힘없이 떠밀려온조개들의 종말수천만년 수억년부딪치고 부서지면서孤島/고도와 함께모래알처럼갈기갈기 찢겨눈부시게 반짝이며해변에 모였다멍들었던고난과 슬픔 희망의 밀알이 되어 하-얗…

제 20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새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김홍도 새참

제 1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9)

次籠山齋韻(차농산재운)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9)次籠山齋韻(차농산재운)노광무(懼菴 盧光懋)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농산재의 시에 차운하다-主翁何事棲雲巒(주옹하사서운만) 주인장은 어이하여 구름 낀 산에 사는지,惟恐雌黃到此間(유공자황도차간)&nbs…

제 19 호

낙락장송을 보며

시인 최증수

낙락장송을 보며시인 최증수거목은 위대하기에 빛나고 아름답다.크고 우람한 정간 보니 머리 숙여지고수백 년 세월이긴 거룩함에 마음 뜨겁다.뻗어나간 가지들도 너무 커그 위용과 애애에 가슴 뛰는데팔십 한뉘를 산 나는 탑본처럼 초라하다.한창 청운의 꿈 키울 때낙락장송을 스승 삼…

제 19 호

“벚꽃 필 무렵이면”

시인 김중열

“벚꽃 필 무렵이면”시인 김중열전방 부대  보름 휴가증 들고줄달음쳐 온 고향왜 그리도 멀고 멀었는지벚꽃이 만개했던 그날의 기쁨이것저것 숨막히게 짜놓은 휴가일정도 어설프게 덧없이  날려보내고어느새헤여져야만 했던그날의 슬픔벚꽃은 봄비를 맞으며 춤…

제 19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화조도 2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화조도 2

제 1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7)

노광무(懼菴 盧光懋)

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登碧霄嶺(등벽소령)-벽소령에 올라-萬山一路杳難分(만산일로묘난분) 깊은 산길 하나 아득하여 분간하기 어려워,頭上靑天脚下雲(두상청천각하운) 머리 위엔 푸른 하늘이요 발밑엔 구름으로,步步登嶺塵世遠(보보등령진세원) …

제 18 호

송림공원의 태양송

시인 최증수

송림공원의 태양송시인 최증수빨강으로 붉디 붉어야 태양송이다.제멋으로 아름다워지는 소나무가밝은 햇살받아 반짝이듯 더욱 빨개지면그제야 기적의 빨간 태양송이 된다.붉음은 스스로 타오르는 불꽃이다.껍질이 붉을수록 그리고 얇을수록순하고 순한 밝은 붉은색의 赤身보이니스스로 빨개지…

제 18 호

마음이 변하고 있다

시인 김중열

마음이 변하고 있다시인 김중열아침 이맘때면앞마당 근처에는까치 일가족들이 모여 놀고앞산 허리에는 까마귀 식구들이날개짓을 한다서로 살아가는 영역을 약속이나한것처럼ㅡ예전에는 누군가에게 전화를 걸어 받지않으면 바쁜가 보 다하고가볍게 넘겼다요즘 그렇지 않고괜스레 서운하고외롭고 …

제 1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17)

노광무(懼菴 盧光懋)

登碧霄嶺(등벽소령)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벽소령에 올라-萬山一路杳難分(만산일로묘난분) 깊은 산길 하나 아득하여 분간하기 어려워, 頭上靑天脚下雲(두상청천각하운) 머리 위엔 푸른 하늘이요 발밑엔 구름으로, 步步登嶺塵世遠(보보등령진세원)&nbs…

제 17 호

송림공원의 태양송

시인 최증수

송림공원의 태양송시인 최증수빨강으로 붉디 붉어야 태양송이다.제멋으로 아름다워지는 소나무가밝은 햇살받아 반짝이듯 더욱 빨개지면그제야 기적의 빨간 태양송이 된다.붉음은 스스로 타오르는 불꽃이다.껍질이 붉을수록 그리고 얇을수록순하고 순한 밝은 붉은색의 赤身보이니스스로 빨개지…

제 17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