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 시와 글

본문 바로가기

시와 글

智異⼭ 紀⾏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5)

역자(譯者) 정경문(茗谷 鄭慶文)
  • 제 6 호

본문



권방(鶴林 權訪) 遊靑鶴洞(유청학동) 3-2




- 청학동에서 노닐며 -

玩瀑臺前龍湫秋(완폭대전룡추추) 완폭대 앞에 있는 용추는 가을철이어서, 

攀援桂樹聊淹留(반원계수료엄류) 계수나무 부여잡고서 편히 오래 머무노라. 

千古狂塵來不得(천고광진래부득) 오랜 세월 속세 홍진 여기 오지 못하여서, 

令人淸氣生颼颼(영인청기생수수) 맑은 기운이 사람에게 솔솔 일어나게 하네. 

老僧跪進松葉茶(노승궤진송엽차) 노승은 꿇어앉아 송엽차를 달여와 마시니, 

忽驚牙頰酸風過(홀경아협산풍과) 입 안에 시큼한 바람이 지나 깜짝 놀랐네. 

歷井捫箕三歎息(역정문기삼탄식) 높고 험한 지역을 지나며 세 번 탄식하고, 

蒯緱彈劒唱悲歌(괴구탄검창비가) 노끈 감은 칼 두드리며 슬픈 노래 부르네.




玩瀑臺(완폭대/翫瀑臺) : 화개면(花開面) 쌍계사(雙磎寺) 북쪽 불일암(佛日菴) 앞에 불일협곡(佛日峽谷)이 내려다보이는 대(臺).《河東誌續修》 

龍湫(용추) : 불일폭포(佛日瀑布) 아래 있는 소(沼)로 청학이 깃들어 산다고 한다.        攀援(반원) : 휘어잡고 의지(依支)하거나 기어 올라감. 

桂樹(계수) : 계수나무.      狂塵(광진) : ‘미친 먼지’로 속세(俗世) 홍진(紅塵)을 뜻함.    淸氣(청기) : 밝은 기운(氣運). 맑은 기운.

颼颼(수수) : 바람소리, 바람이 솔솔 부는 소리.      跪進(궤진) : 앞으로 나아가 무릎 꿇음. 

松葉茶(송엽차) : 소나무 잎을 우린 차. 솔잎차.

忽驚(홀경) : 깜짝 놀라다. 갑자기 놀라다. 

牙頰(아협) : 입 안.

歷井捫參(역정문참) : 정성(井星)을 지나고 삼성(參星)을 만진다는 뜻으로, 높고 험준한 지역을 통과하는 것을 비유하는 말인데, 

이백(李白)의 “삼성을 만지고 정성을 지나 우러러 숨을 몰아쉬고, 손으로 가슴을 어루만지며 앉아서 길이 탄식하네.

[捫參歷井仰脅息 以手拊膺坐長歎]”라고 하였다. 《李太白集 卷2 蜀道難》 

蒯緱(괴구) : 칼자루를 노끈으로 감은 허름한 칼이라는 뜻.

※ 1767년 12월2일 쌍계사와 국사암에서 11일간 체류한 후, 13일 청학동을 찾아 국사암을 출발하여 완폭대(玩瀑臺)에 도착하였다. 동쪽 봉우리의 허리에 

불일폭포(佛日瀑布)가 일천 척이나 거꾸로 떨어지며 천둥 벼락이 치는 듯 흰 눈이 흩날리는 듯하였다. 불일폭포(佛日瀑布)와 龍湫(용추)를 구경하고 

“불일암(佛日菴)에 들어가니 참선하는 여러 스님이 있었는데 송엽차(松葉茶)를 달여와 마셨다.

[入佛日菴 參禪數僧席其間 進松葉茶]” 잠시후 “불일암을 나와 완폭대(玩瀑臺)에 앉았는데 해그림자가 기울어도 떠날 수 없었다. 

대체로 그윽한 풍치와 빼어난 경치는 다른 산이 미칠 수 없었다. 천지간에 과연 신선이 있다면 반드시 이곳을 버리고 다른 곳에 살지는 않을 것이다. 

[出菴坐臺 移晷不能去  葢其幽致絶景  非他山所可及  天地間果有靈仙 必不舍此他居]”라고 하였다.

 

전체 111 건 - 1 페이지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

廣灘舟中(광탄주중)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30)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廣灘舟中(광탄주중)김창흡(三淵 金昌翕)-큰 여울을 지나는 배 안에서-頭流山色遠蒼茫(두류산색원창망) 두류산 산빛은 머얼리 아득하게 바라보이…

제 30 호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2) 시인 최증수3. 많고많은 가지들은 서로엉켜 행복하고 이웃사랑 보여주니 공생공존 모범이요 나무기둥 받쳐주는 생명근원 뿌리들은 땅을빚고 물을길러 낙락장송 키워낸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nb…

제 30 호

인생이란

시인 김중열

인생이란시인 김중열인생은 한떨기 풀꽃 처럼피었다 지네인생은 떠도는 구름처럼모였다 흩어지네 인생은 스쳐가는 바람처럼한번왔다 사라져 인생은 흐르는 강물처럼되돌아 올수없네 그러나 인생은 허공처럼영원한 사…

제 30 호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무아(無我) 전통각자 작가 - 봉황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

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9)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宿河東新縣(숙하동신현)김창흡(三淵 金昌翕)-새 하동현에서 묵다-新邑河東窄(신읍하동착) 새로이 옮기어진 하동읍은 궁색하여,崇阿賣酒家(숭아매…

제 29 호

송림 사랑의 노래 (1)

시인 최증수

송림 사랑의 노래 (1)시인 최증수1. 노래하며 즐겨보자 하동송림 아름다움 구석구석 신기하고 느낄수록 마음벅찬 푸른솔잎 푸른기운 붉은기둥 붉은열정 웃음으로 반겨주고 단심으로 안아준다 그래그래 함께웃자 노래하며 같이웃자 송림사…

제 29 호

영원한 것은

시인 김중열

영원한 것은시인 김중열멀고 험한 길도지나고 보면멋진 추억이 되고고난과 아픔을이겨내고 보면아름다운 삶이되지요아무리 이쁜 꽃도시들지 않고 피어있으면 사랑받지 못하듯만남과 이별의 물레방아가 우리에게 기대와희망을 안겨주듯이 세상 영원한 것이 있다면 따뜻한 사…

제 29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8)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4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爰及杖屨跡(원급장구적) 이에 선생이 머무른 이곳에 이르니, 黌宇啓荒…

제 28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 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건곤일척의 승부수를 못 던진 것이…

제 28 호

세상사 눈물이

시인 김중열

세상사 눈물이시인 김중열물 흐르는 계곡에서 애창곡을 불러 본 일이 있겠지 답답한 가슴을 쓸어내리면서 ㅡ공중화장실에서분노와 절망으로실컷 울어 본 일이 있는가소리 없이 눈물만 ㅡ첫사랑이 오래전소천했다는 뒤늦은 소식에그날 밤 어떻게 지새웠는가후회스런 감정이 ㅡ바쁘다…

제 28 호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

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

智異山 紀行詩       - 河東地域을 중심으로(27)역자(譯者) 정경문 (茗谷 鄭慶文)河東鄭一蠹書院(하동정일두서원) 4-3김창흡(三淵 金昌翕)- 하동 정일두 서원 -何誅喬桐主(하주교동주) 어찌 연산군을 탓할 수가 있겠는가&…

제 27 호

좋은 사람

시인 최증수

좋은 사람시인 최증수밤중에 시 쓰다가책상에 엎드려 죽는 것이 나의 바램. 죽음은 자연현상이라는데땅내가 고소해지면 받아 들려야지. 아름다운 인생을 목표로나름대로 땀 흘렸지만......비전 없이 형편 따라 살다보니내 안에 갇힌 눈 뜬 장님이었지.뒤돌아보면…

제 27 호

이런 저런 날

시인 김중열

이런 저런 날시인 김중열우리에게그런 날도 있었고 우리에게이런 날도 있었다우리에게언제 저런 날이있었는지꿈같은 이야기지나간 세월은추억속에 묻히고오늘의 시간은냉혹하지만내일의 시간은행복할꺼야오늘 내리는 비새생명이 꿈틀거리고 내일 사랑의 빛이 우리곁으…

제 27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