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홍보비 예산 집행을 분석했다 … 이대로 괜찮을까? > 뉴스

본문 바로가기

기획

하동군 홍보비 예산 집행을 분석했다 … 이대로 괜찮을까?

  • 제 10 호

본문


홍보비는 어디에 어떻게 무슨 용도로 사용해야 하는 걸까?   

하동군 홍보예산 규모, 언론 매체별 지원 현황 ?

지역 신문에 집중적으로 홍보예산 몰아주기… “형평성 부족?”   

적절하고 형평성 맞게 집행됐는지 군민들이 판단할 몫이다


110cc8b820b8c990d23db60fb7148a35_1730938988_8544.png
 

자치단체가 해마다 수억 원의 홍보예산을 쓴다. 지 방자치제가 본격 시행된 이후 홍보예산이 늘어나 기도 했다. 하지만 요즘 일부 자치단체는 일부 언론 과의 갈등을 이유로 축소해 가는 경향도 있다. 

홍보예산이 늘어나든 줄어들든 그것은 자치단체장 의 재량이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홍보예산을 어떤 명분으로 무엇을 위해, 어떤 언론 매체나 홍보 용역 업체를 통해 집행했는지는 언론사는 물론 유권자 인 주민들의 관심거리다. 

일부 언론 매체나 주민이 간혹 홍보예산 집행에 관 해 논란을 제기하는 사례도 있다. 홍보예산에 대해 서는 정보공개 청구를 해도 비공개 대상이라는 이 유로 자료 공개를 거부하는 사례도 종종 있다. 

이런 상황이 되면 특정 언론사와 특정 자치단체와 의 갈등은 더 커지게 된다. 이런 사례들을 탐사해서 본지가 하동군의 홍보예산에 관해 관심을 갖고 탐 색해 보고자 한다. 


■ 홍보비는 어디에 어떻게 무슨 용도로 사용해야 하는 걸까?  


홍보비의 지출 근거가 되는 홍보는 그 기준과 방식에 있어서 애매한 영역이다. 우선 누구를 위한 홍보인지 에 기준을 찾아야 한다. 자치단체가 홍보예산을 집행하는 것이 자치단체장인 도지사와 시장, 군수를 위한 홍 보, 유리한 치적 등의 홍보에 집행해야 하는 건지도 논 란 거리다. 

이 기준은 대단히 애매한 부분이지만, 대부분의 자치단 체장은 자신에게 유리한 보도나 홍보를 펼치는 매체에 게 예산 몰아주기를 한다. 자치단체장이 주민과 갈등을 빚는 사안에 대해서도 일방적으로 특정 사업을 강행하 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는 사례가 해당한다. 

물론 주민이나 이해관계자들과 다소간에 갈등을 빚는 다 하더라도 이것이 사업의 본질에 비춰 중단하거나 자 치단체장이 비난받아야 하는 사안인지는 다른 차원의 검토가 필요한 대목이다. 

다시 말해 지방 의회마저도 자치단체장의 사업이나 행 정에 대해 반대나 반발 의견을 내는데도 한 방향으로 정보를 공개하면서 홍보를 강행하는 것에 대해 유권자 인 주민들은 어떻게 대항해야 하느냐도 짚고 넘어가야 할 과제다. 

그래서 어떤 사안(기사 주제나 내용 또는 홍보자료)을 어떤 매체를 통해, 무슨 이유로 얼마를 집행했는지는 그 비용이 유권자인 주민이 낸 혈세로 충당된다는 점에 서 반드시 공개되어야 하는 대목이다. 홍보비용의 적정 성도 물론 검증 대상이다. 

주민들이 알고자 하는 권리 가운데 홍보비 집행이 으뜸 이 되는 이유다. 따라서 자치단체장이 아니라 주민에게 공익적인 효과가 있는 사안을 홍보할 때만 홍보예산을 집행해야 한다는 결론에 이르게 된다.

다시 말해 자치단체장이 자신의 치적 홍보나 사업 추진 력을 얻기 위한 일방적인 의견을 홍보하기 위해 홍보예 산을 집행하는 것은 본질에 벗어나며, 소추(책임 추궁) 의 대상이라는 점이다. 

또한 홍보를 의뢰한 언론 매체가 주민들에게 얼마나 효 율적으로 정보를 전달해 낼 수 있느냐, 즉 매체 영향력 (방송 매체의 시청률, 신문 발행 부수, 유료 구독 부수, 포털의 검색자 수 등)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이런 상식적인 몇 가지의 기준이 반드시 홍보비 예산 집행의 기준이어야 한다. 아마도 일반 주민도 이 정도 는 충분히 인지하고 있을 것이다. 

이런 기준을 벗어난 홍보비 예산 집행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를 놓고 NGO단체 등이 나서야 한다. 자 치의회도 홍보예산 집행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 하동군 홍보예산 규모, 언론 매체별 지원 현황?


주간하동은 이 부분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해 하동군에 10월 중순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자료 를 확보했다. 

하동군이 공식 공개한 자료이지만 일부 언론사에 한해 건수나 금액에 다소 차이가 날 수도 있다. 

지역신문과 방송, 포털 매체는 총액, 그리고 하동에 터 잡은 지역신문을 대상으로 건수와 금액을 집계했다. 


 b9575deafe6286f41e86e4e5faff6a0d_1730980714_4577.jpg

 


■ 일부 지역신문에 집중적으로 홍보예산 몰아주기  … 형평성 부족 논란 예상


위에서 하동군의 2024년 상반기 언론사별 홍보비 집행 상황을 분석해 보면, 이렇다 할 기준도 없어 보인다. 무 엇보다 홍보의 목적과 효과가 군민에게도 이로운 것인 지도 판단되지 않는다. 

특정 언론사(지역신문)에 집중된 점도 발견됐다. 집행 규모도 들쭉날쭉했다. 지역 신문의 경우 대부분 건당 50만 원에서 100만 원 선 (부가세 별도) 이어서 다른 시‧군과 비교해 단위 규모는 거의 비슷한 것으로 판단 된다. 

하지만 지역신문 간에도 지급받은 홍보비가 2배 이상 의 차이가 나는 것으로 봐서, 특별히 납득할 만한 기준 이나 평가 자료 없이 홍보비 집행 부서가 임의로 진행 한 것으로 이해된다. 

지역신문 가운데 거의 홍보비를 지급받지 못하는 사례 도 있어서 앞으로 집행 기준을 놓고 형평성이 유지되고 있는지에 대한 논란이 일 수도 있어 보인다. 무엇보다 어떤 내용들을 홍보했느냐에 따라 군민의 세금이 포함 된 공보 또는 홍보예산의 쓰임이 적절했는지에 대해서 는 군민들이 판단할 몫이라고 생각한다. 

/김회경 편집국장

전체 81 건 - 1 페이지

하동읍 읍민관 앞 ‘주차환경개선사업’ 주민설명회 … “누구를 위해, 왜? 하는 사업인가?”

주차환경개선사업인데 주차면적(공간)이 축소된다?

하동읍 읍민관 앞 ‘주차환경개선사업’ 주민설명회… “누구를 위해, 왜 하는 사업인가”  주차환경개선사업인데 주차면적(공간)이 축소된다“더 급한 사업부터 해야” “주민들에게 실용적인 시설 갖춰야”다양한 주민 의견 쏟아져  모 의원 “의…

제 30 호

하동시장 번영회 정상화의 길로 나아갈까?

새로 선임된 임원 박기봉, 정경훈 제명 의결, 법원이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결정

하동시장 번영회 정상화의 길로 나아갈까… 일부 회원 제명 효력정지 가처분 신청 법원에서 ‘인용 결정’ 내려져  새로 선임된 임원 박기봉, 정경훈 제명 의결, 법원이 “효력정지” 가처분 인용 결정   지위 되찾은 회원, 임시총회 개최 …

제 30 호

하동군 홍보비 집행 이래도 되나 ? … 2025년도에도 말 잘 듣는 언론사에 몰아주기 여전

올 상반기 4개 지역신문에 7,000만 원 넘게 집행…“몰아주기 여전”

하동군 홍보비 집행 이래도 되나   … 2025년도에도 말 잘 듣는 언론사에 몰아주기 여전    올 상반기 4개 지역신문에 7,000만 원 넘게 집행…“몰아주기 여전” 지역신문 건당 광고료도 80~90만 원 선…일…

제 30 호

대송산단 채석장 관리 부실이 낳은 또 다른 비극?

대송산단 채석장 허가 기간 끝나자, 인근 야산으로 옮겨 불법 야적

대송산단 채석장 관리 부실이 낳은 또 다른 비극                      … 갈사리 명선마을 주민 간 폭력 사건으로 비화됐다  대송…

제 30 호

대송산단 채석장 관리 이래도 되나?

채석장 인근에 불법 야적장 설치 … 인근 도로 흙탕으로 변해

대송산단 채석장 관리 이래도 되나 채석장 인근에 불법 야적장 설치 … 인근 도로 흙탕으로 변해 채석 허가 기간 끝났는데도 천공기와 포크레인 등 장비 그대로 방치 미처 반출 못 한 골재 몰래 실어낸 흔적 드러나 … “관리 부실” 지적 …

제 29 호

가로수 한그루 50만 원 … 그렇게 비싼 걸 심어놓고 관리는 왜?

군청~비파(배섬)~신촌마을 이르는 군청로 가로수 식재 비용 5,200만 원

가로수 한그루 50만 원 … 그렇게 비싼 걸 심어놓고 관리는 왜군청~비파(배섬)~신촌마을 이르는 군청로 가로수 식재 비용 5,200만 원 심은 나무 3그루 중 1그루 고사, 아름다움이 아니라 흉측한 거리로 변해 허구한 날 파고 되메우기 되풀이 언제 걷…

제 29 호

하동 대송산단 마무리 공사 한창? … 산업단지 조성이 목적이 아니라 돌 파먹는 게 목적이냐?

산단 부지 정지 위해 토석 채취 허가 … 부지 정지에 관심 없고 돌 파먹는 데 집중

하동 대송산단 마무리 공사 한창      … 산업단지 조성이 목적이 아니라 돌 파먹는 게 목적이냐    산단 부지 정지 위해 토석 채취 허가 … 부지 정지에 관심 없고 돌 파먹는 데 집중필요한 만큼만 채취해야 하지만…

제 28 호

하동군의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를 살펴보니 (2)

각 부서 지적 많고 시정 및 처리 요구 많아, 건의 사항도 봇물

하동군의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를 살펴보니 (2)              … 시정처리 요구 많아, 의회 무시 행정이란 지적 나와각 부서 지적 많고 시정 및 처리 요구 많아, 건의 사항도 봇…

제 28 호

‘하천 제방둑에 불법 구조물 설치’ 보도하자 뒤늦게 ‘하천점용허가’ 고시

본지 4월 22일 자, 하동읍 두곡리 섬진강둑에 ‘별천지하동’

‘하천 제방둑에 불법 구조물 설치’ 보도하자 뒤늦게 ‘하천점용허가’ 고시                     … “하동군의 이상한 행정, 불법을 합법으로 숨길라꼬…

제 28 호

‘하동군 터미널 공사 지연’ 관련 사과문 낸다고 끝날 문제 아니다

하루 이틀에 드러난 문제가 아닌데도 굳이 한여름에 공사를 발주한 이유?

‘하동군 터미널 공사 지연’ 관련 사과문 낸다고 끝날 문제 아니다      … “관련자 과실을 물어서 엄중 처벌하고, 재발방지책 마련하라”  하루 이틀에 드러난 문제가 아닌데도 굳이 한여름에 공사를 발주한 이유의도적…

제 28 호

하동군의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를 살펴보니 … “시정 및 처리요구 봇물, 민선 8기 행정 전반 후…

총 238건 대상 감사 지적… 217건 시정 및 처리요구, 21건 건의사항

하동군의회 2025년도 행정사무감사 결과를 살펴보니  … “시정 및 처리요구 봇물, 민선 8기 행정 전반 후퇴 지적”총 238건 대상 감사 지적… 217건 시정 및 처리요구, 21건 건의사항  시정 요구 건수 많은 건, 법규 행정 벗어난 위법…

제 27 호

진교면 소재지 길 일방통행로 지정 … 논란 잘 수용해야

진교공설시장 – 시외버스터미널 – 면사무소 거치는 일방통행로 지정 구상

진교면 소재지 길 일방통행로 지정 … 논란 잘 수용해야  진교공설시장 – 시외버스터미널 – 면사무소 거치는 일방통행로 지정 구상 하동군 “ 이 구간 보행로 만들면 차선 폭 좁아져 일방통행 지정 불가피” 진교 주민 “일방통행로 지정 구…

제 27 호

창간 1주년을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 올바른 소식 전하도록 더욱 노력하습니다

창간 1주년을 축하해 주셔서 감사합니다앞으로 올바른 소식 전하도록 더욱 노력하습니다주간하동이 지난 7월 2일 창간 1주 년을 맞았다. 많은 군민과 기관 단체장들이 축 하해 주셨습니다. 많은 분이 뜻을 모아주셨으며, 또 지역신문의 경 영에 어려움이 있음을 알고 …

제 26 호

구) 화개면사무소 주변 개발 … “주민들의 의견 수렴”은 헛구호인가?

구 화개면사무소 → 인근으로 개발 범위 확장… “주민 의견 반영”은 글쎄?

구) 화개면사무소 주변 개발 … “주민들의 의견 수렴”은 헛구호인가      구 화개면사무소 → 인근으로 개발 범위 확장… “주민 의견 반영”은 글쎄  군의회에서 개발 방향 놓고 잇따른 질의에도 불구하고…

제 26 호

인구 감소가 가져온 교육현장의 부작용 … 기숙형 한다사 중학교의 미래

학령 인구 급감으로 한다사중학교도 입학자원 감소 … 피할 수 없는 흐름

인구 감소가 가져온 교육현장의 부작용  … 기숙형 한다사 중학교의 미래 학령 인구 급감으로 한다사중학교도 입학자원 감소 … 피할 수 없는 흐름“진교 중학교로 갈 입학자원을 한다사중학교로 조정” … 진교주민 반응“진교면 중학생 자원 옮겨 가면 진교지역 …

제 26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