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승철 하동군수 - “지역경제 회복, 주민 삶 향상 위해 노력” > 오피니언

본문 바로가기

오피니언

[신년사] 하승철 하동군수 - “지역경제 회복, 주민 삶 향상 위해 노력”

  • 제 14 호

본문

 

50만 내외 하동군민 여러분! 설레임 가득한 을사년 새해가 밝았습니다. 

2025년은 하동의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는 전환점입니다. 하동을 ‘컴팩트 도시’로 설계하며, 아름다움과 실용이 공존하는‘매력 하동’을 만들어갈 것입니다. 

보건의료원 착공, 청년타운과 평생학습관의 준공으로 삶의 터전을 다지고, 첨단농업과 녹차 치유 관광단지로 하동의 미래를 열겠습니다.

깨끗하고 예쁜 하동은 작은 변화에서 시작됩니다. 쓰레기 집하장과 재활용센터를 마련하고, 가로수길과 쉼터를 곳곳에 조성해 하동의 일상이 힐링이 되도록 하겠습니다.

주민 생활과 밀착된 행정은 하동의 뿌리입니다. 100원 버스와 자율주행 버스를 내실화하고, 노인 맞춤형 복지와 청년을 위한 창업·주거 지원을 확대하겠습니다. 청춘마켓과 평생학습관은 젊은 하동의 활기를 더할 것입니다.

농업의 미래는 첨단에서 시작됩니다. 하동에 뿌리내릴 첨단농식품 클러스터는 안정적인 일자리를 만들고, 하동차는 세계로 뻗어나갈 것입니다. 

서울과 뉴욕에 설치될 하동차 문화관은 하동의 이름을 세계에 알리는 무대가 될 것입니다.하동은 힐링과 매력의 문화관광 메카로 거듭납니다. 섬진강 쉼터와 비밀정원, 지리산 둘레길은 하동을 품격 있는 휴식의 공간으로 만들고, 해양관광단지는 녹차와 치유가 어우러진 명소로 탄생할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민생경제의 안정이 최우선입니다. 지난해 갈사산단 공사대금 청구소송으로 아낀 재원을 지역경제 회복과 주민의 삶을 위한 사업에 투입하고, 하동중앙시장 재개발과 대송산단 투자유치를 통해 하동의 활력을 되찾겠습니다.

군민 여러분의 지혜와 참여와 응원이 필요합니다. 50만 내외 군민 모두가 함께해 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전체 100 건 - 1 페이지

[기고] 하동시장번영회, 자율인가 개입인가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하동시장번영회, 자율인가 개입인가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지방자치의 목적은 주민의 삶의 질 향상과 지역 공동체 의 발전에 있다. 그러나 최근 하동군에서 벌어진 한 사 건은 과연 누구를 위한 군정인가에 대한 의문을 품게 한 다. 전통시장의 상인들이 자체적…

제 21 호

[기고] 방향 잃은 군정, 하동의 미래를 말하다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방향 잃은 군정, 하동의 미래를 말하다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하동군이 흔들리고 있다. 지금의 하동군정은 군민이 바 라는 방향과는 동떨어진 채, 목적은 불분명하고 실효성 없는 보여주기식 행정으로 가득 차 있다. 민선 8기 하동은 하루하루가 ‘이…

제 21 호

[칼럼] 하동의 얼굴 송림공원 내 주차장 조경수 고사 …관내 로타리 내 잡풀 무성하다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하동의 얼굴 송림공원 내 주차장 조경수 고사 …관내 로타리 내 잡풀 무성하다 “봄철 행락철인데도, 방문객들에게 부끄러운 모습 그대로 방치” “상춘객이 다 거쳐 간 뒤 뒤늦게 고사목 자르고 뽑아내 버려”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지역마다 그 지역을 …

제 21 호

[사설] ‘정책자문단 구성’과 ‘용역발주’ 그리고 ‘의회’ … 주민 삶에 미치는 영향?

정책자문단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구체적인 역할은 무엇인지?

‘정책자문단 구성’과 ‘용역발주’ 그리고 ‘의회’ … 주민 삶에 미치는 영향 정책자문단이 왜 필요한지 그리고 구체적인 역할은 무엇인지 대한민국에 지방자치제를 시행한 지가 40여 년 에 이르고 있다. 지방자치는 단체장을 주민 직접 투표로 뽑는 것과 주민…

제 21 호

[기고] 이동진 기고- 음양 이야기[7]

이동진 기고- 음양 이야기[7]■ 腎臟(신장)은 水에 속하며 陰의 臟 腑이다.腎은 콩팥신 · 불알신 이라한다.腎字를 자해하여 보면 굳을간(=臣 + 又) + 月(=肉)이다. 따라서 腎은 굳세어야 할 신체 장부이 다. 下焦에 속하며 사람의 뿌리(精)에 해당하므로 …

제 20 호

[칼럼] 국민의힘 군수와 더불어민주당 군의원과의 아름다운 협치?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국민의힘 군수와 더불어민주당 군의원과의 아름다운 협치하울림의 탄생과 해체, 청소년 예술의 좌절하동군에는 한때 전국적으로 주목받는 청소년 국악예술 단 ‘하울림’이 있었다. 이 단체는 전임 군수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중·고·대학생 등 하동 출신 젊은 예술인들이 사물놀이·…

제 20 호

[칼럼] 보여주기 해외출장의 허망함: 진짜 성과는 어디에 있는가?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보여주기 해외출장의 허망함: 진짜 성과는 어디에 있는가김동욱바다 건너 화려한 ‘성과’ 이면에 드리운 그림자최근 하동군청이 발표한 군수의 해외출장 관련 보도자료 와, 이를 그대로 받아쓴 듯한 지역 언론 기사를 찬찬히 살 펴보면, 마치 엄청난 국제 협약이라도 체결된 것처럼…

제 20 호

[칼럼] ‘1%의 엘리트와 99%의 함께 살기’ 미국 … 하동군의 1%는 ?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1%의 엘리트와 99%의 함께 살기’ 미국  … 하동군의 1%는 미국은 1%에 대한 신뢰가 굳어져 있지만, 하동군에도 신뢰가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미국을 초일류 국가로 부르는 것을 놓고 반론을 제기 하거나 부정하는 사람은 전 세계 어디에도 …

제 20 호

[사설] 임산물도 농산물도 아닌 녹차 … 하동지역 녹차 재배 농사가 점차 어려워진다

관련 당국이 힘을 합쳐 녹차 농가의 현실에 대한 대응책 마련해야

임산물도 농산물도 아닌 녹차   … 하동지역 녹차 재배 농사가 점차 어려워진다관련 당국이 힘을 합쳐 녹차 농가의 현실에 대한 대응책 마련해야 기후변화와 먹거리 대응, 그리고 각종 보조금을 통한 농업인 보호 등이 요즘 화제다. 농업인 …

제 20 호

[공지] 반박 보도 - 하동 군민체육대회 개최 종목 선정 논란

… 배구가 빠졌다? … “배구협회가 8개 팀 참가 의향, 종목에 포함”

반박 보도하동 군민체육대회 개최 종목 선정 논란… 배구가 빠졌다… “배구협회가 8개 팀 참가 의향, 종목에 포함”      하동군  읍면체육회장  연합회 는 본지 18호(2025년 3월 11 일 발행) ‘하…

제 19 호

[기고] ‘예쁜 하동 만들기’ 빨리 시작하자

박용권 하동재향경우회장 광평마을 이장

| 기고 |‘예쁜 하동 만들기’ 빨리 시작하자박용권 하동재향경우회장 광평마을 이장하동군은 “예쁜하동 만들기” 사업 추진 일환으로 지난 3월6일하동읍을 더욱 편리하고 쾌적하게 조성하기 위해 하동읍 주민및 상가 상인 등30여 명이 남해읍 중심도로를 견 학…

제 19 호

[기고] 이동진 기고- 음양 이야기[6]

이동진 기고- 음양 이야기[6]1. 脾腸...土에 속하며 陰의 臟腑이다.∙脾臟(비장)->脾字를 字解하면 肉+卑(=술을푸 는국자)이다.膵臟(췌장) 또는 지라 라고도 한다.膵臟(지라)...소화 · 혈당조절 · 당뇨병에 영향을 미친다.陰中之陰->足太陰脾經 ...엄…

제 19 호

[기고] 내란 프레임과 계몽령: 자유민주주의 앞에 놓인 마지막 선택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내란 프레임과 계몽령: 자유민주주의 앞에 놓인 마지막 선택가짜 내란과 진짜 내란 사이, 국민이 맞닥뜨린 역설지난해 12월 3일 밤, 윤석열 대통령이 돌연 비상계엄을 선포했다. 불과 몇 시간 만에 국회가 해제를 결의했고, 대 통령…

제 19 호

[기고] 두 갈래 길에서: 대한민국의 선택과 그 의미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

김동욱의 하동 인사이트 혁신을 향한 목소리두 갈래 길에서: 대한민국의 선택과 그 의미대한민국의 선택과 건국1945년 8월 15일, 일본 제국주의가 패망하면서 한반도 는 해방을 맞았다. 그러나 해방의 기쁨도 잠시, 한반도 는 두 개의 길 앞에서 선택을 강요받았다. 하나는…

제 19 호

[칼럼] 이룰 수 없는 꿈 ‘이카루소의 몽상’,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나?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이룰 수 없는 꿈 ‘이카루소의 몽상’, 우리는 무엇을 배워야 하나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우리는 누구나 꿈을 가지고 산다. 그 꿈이 실현 가능한 지 여부와는 별개다. 하지만 가능한 이룰 수 있는 꿈이 어야 행복할 수 있다. 그렇지 못한 꿈에 …

제 19 호
게시판 전체검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