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빈아 트롯 가수 탄생 … 하동의 자랑이 됐지만? 하동에서는 ?
“하동 출신인데도 환영받지 못하는 빛 잃은 별이 되지 않아야”
- 제 20 호
본문
손빈아 트롯 가수 탄생 … 하동의 자랑이 됐지만? 하동에서는 ?
“하동 출신인데도 환영받지 못하는 빛 잃은 별이 되지 않아야”
손빈아 가수가 TV조선 ‘미스터트롯3’ 경연대회에 참석 해 2등으로 최종 선정됐다. 손빈아는 경연 초기부터 두 각을 나타내기 시작했다. 4개 월의긴 장정 끝에 최종 2 등이었지만, 노래 실력만은 영원한 1등으로 기억되고 있다.
트롯 경연도 끝나고 승부도 끝났다. 하지만 손빈아를 둘러싼 경연 과정에 펼쳐진 현상을 두고 논란이 가시지 않고 있다. 경선 초기부터 단계마다 늘 1등인 진(眞)을 차지했으며, 3월 13일 펼쳐진 마지막 결승 경연에서도 심사단인 마스터 점수에서 올 만점(All 100점)을 받아 사상 전례가 없는 성적을 얻었다.
하지만 지난 3월 13일 결승 당일 국민문자투표에서 얻 은 득표수가 적어서 심사단 평가에서 1등을 차지하고 도 최종 2등(善)으로 끝났다.
이같이 국민투표수 획득에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두 고 하동군과 군민들은 무엇을 했냐는 자조적인 반성이 터져 나오고 있다. 무엇보다 동일한 방송사의 트롯 경 연에서 7위 안에 뽑힌 정동원과 김다현 가수의 경선 과 정과 견주는 평가가 뒤늦게 화제가 되고 있다.
상당수 하동군민은 정동원, 김다현 가수의 경선 때였던 전임군수는 열렬한 격려는 물론 국민투표 지지율을 높 이기 위해 동원 가능한 행정력을 투입했음을 기억한다 고 입을 모았다.
다시 말해 이번 손빈아 가수의 경선 과정에 하동군이 행정적인 차원에서 얼마나 어떤 노력이나 지원을 했느 냐를 반문하고 있는 것이다.
다수 군민은 군 행정이 바빠서 그런지는 몰라도, 하동 군수와 군 행정이 거의 작동하지 않았다고 지적한다. 물론 “특정 방송사의 노래 경연대회에 한 군민이 참여 했다고 해서 공공행정력이 투입될 필요가 있느냐”고 반문한다면 무어라 더 평가할 일은 아닌 듯하다.
하지만 인근 전북 장수군 출신 최재명 가수는 초기 경 선에서 돋보이기 시작하자 군수가 공식 홍보대사로 임 명하고 음으로 양으로 지원을 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외에도 경연에 참가한 가수들의 출신 고향 자치단체 가 후원에 나선 사례들은 여러 가지 알려졌다. 심지어 하동에서 좀 떨어진 의령군의 단체장이 격려 전화를 한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회한을 남긴다.
경연이 끝난 뒤, 하동군에서는 하동지역 예술단체들이 연합해서 손빈아 축하 플래카드를 달아 놓은 것은 확인 이 되지만, 그밖의 단체나 공공기관 명의로 축하 홍보 물이 달리거나 게시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일 부 식당이나 카페 등지에서 음식값을 할인해 주겠다는 취지를 담은 마음 훈훈하게 하는 플래카드나 게시물이 내걸린 사례는 발견된다.
안타까운 사실은 경남의 시골 동네 하동군을 전국에 알 릴 수 있는 계기는 그렇게 많지 않다. 그런데 손빈아는 경선 초기부터 ‘하동의 남진’이라는 타이들을 내걸어 고향이 하동임을 적극 알렸다. 그리고 줄곧 우수한 성 적을 기록했다. 하동도 덩달아 유명해졌다.
이런 면에서 보면, 손빈아를 활용한 하동군의 홍보에 좋은 계기가 마련된 것이라고 누구나 인지했었다. 손빈 아를 홍보대사로 임명하든 또 다른 방법을 찾든 간에 손빈아와 하동군의 관련성을 좋고 선한 이미지 구축이 나 홍보에 활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나돌았다.
하지만 하동군은 이런 것에 관심을 두지 않았다. 손빈 아의 뒷바라지를 해온 아버지는 경선 중반전쯤 “심사 단 평가에서는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있지만, 국민투표 에서는 뒷배가 부실해서 걱정이 된다”는 하소연을 하 기도 했다.
물론 들리는 이야기에 따르면, 손빈아의 아버지 손종 인 씨는 하동군에 나름의 행정적 지원 요청을 위해 군청 비서실을 통해 군수를 만나 지원을 요청하고자 시도 했으나, 면담이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다시 말해, 손빈아의 아버지가 하동군에 공식적으로 지 원을 요청했다는 이야기로 이해된다. 이 상황은 결단코 손빈아 측이 요청을 하고 말고가 초점이 되어서는 안되 는 사례다. 당연히 축하에 나서야 할 사례다. 그러나 결 론적으로 하동군 측의 눈에 띄는 지원이나 후원은 없었 다고 볼 수밖에 없다.
하동군을 넘어서 경남도가 나서도 지나치다는 지적은 절대로 나오지 않았을 좋은 계기였다고 생각한다. 부 산과 대구에 연고를 두고 있다는 김용빈 가수를 격려 하거나 문자투표 지지를 유도하는 플래카드 등이 인근 창원까지 내걸린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지 되새겨볼 필 요가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많은 아쉬움을 남기는 대 목이다.
더 유심히 봐야 할 대목은 경연이 끝나고 나서다. 손빈 아는 밤새 결승 경영을 마치고 뜬눈으로 고향 악양을 찾아 어르신들에게 인사를 올렸다. 이 자리에도 하동 군 측의 공식적인 축하는 없었다. 축하 표시도 없었다.
그 이후 시간이 흘렀지만 군수 명의이든 군청 명의이든 아직 축하 플래카드 하나 내걸리지 않았다. 본지 기자 의 눈에 띄지 않은 건지는 모를 일이다. 아마도 민선 8 기 군정에서는 손빈아 정도의 사례는 축하할 거리가 되 지 않는다고 판단한 모양으로 비춰지고 있다.
그러던 중 경연이 끝난 지 20여 일이 지난, 지난 3일 손 빈아 생가에 ‘하동군이라는 것’ 이외에 누가 보낸 건지 알 수 없는 화환이 배달됐다. 궁금증을 낳게 한다. 여기까지가 ‘하동이 낳은 천재 트롯 가수’, ‘하동의 아 들 손빈아 가수’와 관련된 뒷담화들이다. 가수 손빈아 는 “저를 이렇게 키워주셔서 감사하다”는 인사를 고향 분들에게 올렸다. 손빈아는 하동을 기억하려고 노력하 는데 하동이 손빈아를 애써 내치려는 모양새가 되어버 렸다.
군민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김회경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