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귀농 귀촌 인구의 절반이 50대 이상이다
… 노령인구 비율 증가에 대한 대책 마련도 병행해야
- 제 19 호
본문
하동군 귀농 귀촌 인구의 절반이 50대 이상이다
… 노령인구 비율 증가에 대한 대책 마련도 병행해야
귀농‧귀촌 인구 유치에 각 자치단체가 혈안이 다. 인구 급감 시대를 맞아 출생 인구를 늘리는 게 여의치 않자, 각 자치단체가 상주인구를 유 지하거나 늘리는 전략으로 귀농‧귀촌 인구 늘 리기에 집중하고 있다.
하동에서 어릴 때 고향을 떠난 분들의 귀향을 유도하는 것도 가볍게 여겨서는 안 될 전략이 다. 하지만 귀농‧귀촌 인구 유치가 일시적인 인 구 증가에는 좋은 작용을 할지 모르겠지만 얼 마 지나지 않아서 또 다른 노령인구 군으로 분 류되는 점은 더 깊은 고민을 해봐야 할 과제로 불거졌다.
하동군이 집계한 지난 2024년 귀농‧귀촌 인구 통계에 따르면, 전체 1,300명 가운데 50대 이상 이 55%를 차지한다. 60대도 24%에 이른다. 실 질적으로 하동 인구 증가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연령대인 40대 이하는 절반에 불과하다.
신생아 출생률에 도움을 줄 수 있는 20~30대는 30%에 불과하다. 나머지는 귀농‧귀촌 인구 그 자체로의 의미 이상도 이하도 아니다. 다음 세 대에 인구 증가를 가져다줄 출산이 가능한 젊 은 층 비율이 낮다는 것은 장기적인 인구 유지에는 별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비록 젊은 층 비율은 낮지만 이들 유입 인구 모두 하동군의 재정확보에는 적지 않은 도움 이 된다. 상주인구가 증가하니 보통교부세 확 보가 쉬워진다.
하지만 구농‧귀촌 인구의 절반이 넘는 50대 이 상은 얼마 지나지 않아 다시 노령인구에 분류 되므로 또 다른 노인 복지 수요를 유발하게 된 다는 모순을 안고 있다.
어찌 되었건, 한해에 하동군에 1,300여 명의 귀 농‧귀촌이 이뤄진다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다. 이와 관련해 하동군은 생활인구에 대한 개념을 잘못 파악하고 있는 듯하다. 본지가 귀농‧귀촌 인구 관련 기사를 보도하자, 생활인구가 연간 46만 명에 이르므로 보통교뷰세 확보에 유리 하다고 반박했다.
하지만 생활인구를 어떤 기준으로 해서 상주인 구로 전환(환산)시켜 주는지에 대한 명확한 기 준을 제시하지 못했다.
예컨대 관광자원이 풍부한 하동군을 찾은 외 지인이 하루나 이틀 머물고 가는 생활인구가 늘어났다고 전제할 때, 어떤 기준에 의해 생활인구에 대한 보통교부세(기초 지방재정 확보) 인정 비율이 마련되는지 등을 제시하지 못하 고 있다.
하지만 생활인구는 지방재정 확충에 도움이 되 는 것은 물론 관광 수입과 농수특산물 판매 수 익 등 여러 분야에서 지역경제를 살리는 데 힘 이 되므로 적극적인 유치에 손을 놓을 수 없다. 젊은 층의 귀농‧귀촌을 유도할 수 있는 대책 마 련에 좀 더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 다. 하동군은 ‘생활인구 유치가 지방재정 확충 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군민들에게 충분한 설 명과 홍보가 필요해 보인다.
결국 기존 관광자원을 최대한 활용한 ‘농업 6차 산업화’ 등 이미 구상하고 실행에 옮겼지만, 지 금은 그 성과가 흐려지고 있는 종전 계획들을 되 살려서 적극 추진하는 것이 농어촌 소도읍 하동 군이 살 수 있는 대안으로 제시되는 이유다. 한편 하동군의 주민등록 상주인구는 현재 4만 명 선을 겨우 넘고 있지만 급격하게 줄어드는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상반기 안에 3만 명대로 무너질 것으로 예측된다.
/김회경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