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 화개면 사무소 리모델링 사업 전면 취소”…왜 그리 성급한가?
“화개면민들, 왜 그리 성급하게 사업 자체를 포기하는지?… 설명 필요”
- 제 14 호
본문
“구 화개면 사무소 리모델링 사업 전면 취소”…왜 그리 성급한가?
“2차례 주민설명회에서 제안한 내용 … 그런데도 당초 예산 삭감”
“화개면민들, 왜 그리 성급하게 사업 자체를 포기하는지?… 설명 필요”
하동군이 지난해 의욕적으로 추진하던 구 화개면 사무소 리모델링 사업을 취소하기로 했다. 이유는 필요한 16억 8천만 원의 전체 예산 가운데 2025년도 당초 예산 6억 8천만 원을 군의회가 삭감한 데 따른 결정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동군은 구 화개면 사무소를 리모델링 하기로 하고, 지난 2024년 1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이장협의회 회의 내용은 물론 용역 시행, 전문가 자문, 군 자문단 의견 수렴 등을 거쳐 ‘하동 TEA 이음 다락방 조성’으로 사업명을 최종 결정했다.
지난 2021년 화개면 사무소가 신청사로 이전해 간 이후 비어 있던 구 면사무소에 대한 사업 구상을 거쳐 하동군은 2024년에 10억 원의 예산을 확보했다. 하지만 전체 사업을 목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6억 8천만 원의 추가 예산이 필요하다며, 2025년 당초 예산에 편성했으나 지난달 군의회에서 전액 삭감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동군은 1층에는 카페를 조성하고, 2층에는 게스트 하우스를 조성해 화개 일대를 찾는 관광객들에게 편안하게 묵고 갈 수 있는 숙박시설을 갖추기로 구상했었다. 그런데 군의회 예산 심의 과정에서 ‘2층에 지역의 역사 자료들을 전시해 지역의 역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 달라는 요청에 어긋난다’며 예산을 삭감한 것이 아닌지 설명하고 있다.
여기에서 2가지 문제점을 요약할 수 있다. 우선 하동군은 이장협의체를 비롯해 여러 통로를 통해 충분히 의견 수렴을 했다고 하지만 이 과정에서 절차와 노력이 충분했느냐에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또 하나는 예산 심의 과정에서 한 차례 충돌이 발생했다고 해서 또 다른 방안을 시도해 보지도 않은 채 그냥 그 사업 자체를 취소하겠다고 선언한 것이 옳으냐는 것이다.
하동군이 사업 자체를 취소한다고 발표한 이상 더 이상 논란을 벌일 필요는 없다. 이 사업의 추진과 취소 결정 과정에 군 행정이 주민들에게 감정을 드러내는 듯한 인상을 남겨 아쉬움이 크다.
민선 8기 들어 인구 감소에 대응해 하동에서 관광객으로 머물거나 숙박을 하는 이른바 ‘생활인구’라도 늘려야 한다는 절박한 심정으로 게스트하우스를 조성하고, 화개장터를 살리고, 인근에 ‘조영남 갤러리’와 ‘옥화주막’과 연계한 사업을 추진하려고 한 것은 의미 있는 사업 구상이었던 것으로 평가된다. 사업명을 ‘경남별장’으로 지정하고 체류형 관광시설을 장려하려 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사업 취소와 관련해 하동군은 “공식적으로 주민 간의 의견이 조정되고 합의되는 등 주민 의견을 적극 반영했음에도 불구하고 합리적인 이유 없이 예산이 삭감된 것은 아쉽다”고 설명한다.
당초 예산이 군의회 심의 과정에서 삭감되려면 사전에 의견 조율이 있었을 것이다. 지역 군의원이 이런저런 의견을 내세우며 문제 제기도 했을 것이다. 그런데도 결론적으로 ‘예산삭감과 그에 맞서 사업 취소’라는 결과를 내놓는다는 것은 아쉬움을 남긴다.
한 번 더 의견을 조율하고, 군의회에서 제기됐던 삭감 이유를 더 분석해서 지역주민을 설득하는 모습이 필요했다. 상대가 주먹을 날린다고 나도 주먹을 날리면 그것은 전면전으로 이어진다. 하지만 한쪽이라도 한 발짝 물러나서 좀 더 생각하는 모습을 보였더라면 좋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일단 구 화개면 청사 리모델링 사업은 시간적 여유를 두고 다시 의논해야 할 숙제가 되었다. 좀 더 지역주민과 머리를 맞대고 의견 수렴에 노력하기를 바란다.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지역주민의 의견에 더 귀 기울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는 것을 교훈으로 삼기를 기대한다. 지역주민들도 합리성이 있는 내용인지를 고심해서 주장해야 되리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화개 주민들은 “왜 그리 성급하게 사업 자체를 포기하는지 모르겠다.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처음부터 새로 구상한다는 생각으로 시작하길 바란다. /김회경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