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에도 도시가스 공급을 늘리려면 … 도비 확보가 관건이다

“주택밀집도 낮아 고비용 저성과 … 하동지역 추가 확대 어려워”

본문

하동에도 도시가스 공급을 늘리려면  … 도비 확보가 관건이다 


“주택밀집도 낮아 고비용 저성과 … 하동지역 추가 확대 어려워” 


하동지역에도 도시가스를 확대 공 급하기 위해서는 경남도의 지원을 늘려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하동군에는 지난 2015년부터 하동 읍을 중심으로 도시가스 보급을 시 작해 지난해까지 3천 700여 가구에 도시가스 공급을 마쳤다. 하동읍 지 역에 공급 가능한 가구에는 도시가 스 설치를 거의 마쳤다.  

하동군은 진교면 등을 비롯해 면 단 위 지역에는 투자 대비 효율이 낮아 추가로 관로 확대가 불가능하다고 설명한다. 

2천 가구 이상이 밀집해 있는 진교면에도 투자 대비 효율성을 확보할 수 없는 상황인 것으로 하동군은 분 석한다. 하동군위 계획으로 미루어 볼 때, 추가로 도시가스 보급을 늘 려가지 않을 것으로 판판된다. 

하동군의 경우 가스공사의 공급기지가 있는 적량면에서 관로를 확대해나가는 방식으로 주거 밀집 지역 우선으로 도시가스 공급을 추진한다. 

하지만 진교면의 경우 적량공급기지에서 거의 20km 이르는 먼 거리를 관로로 연결해야 하는 만큼 투자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분석한다. 

도시가스는 설치비의 일부를 경남도로부터 지원받지만, 한해 2억여 원 정도로 제한적이어서 크게 도움 이 되지 않는다. 이러다 보니 하동 군과 같은 자체 사업비 확보가 여의 치 않은 군 단위는 도시가스 확대가 녹록하지 않은 실정이다. 

하동군은 지난해 하동읍 도시가스 공급에 10억여 원을 투입했지만, 경 남도비 지원은 2억여 원에 그쳤다. 올해는 하동군이 사업비 자체를 잡 이 않았으므로 경남도로부터 대응 자금은 한 푼 받지 못한다. 

한편 경남도는 올해 창원시 등 15 개 시‧군 3,400여 세대를 대상으로 105억 원의 도시가스공급시설 설치 지원사업을 추진한다. 경남도에는 현재까지 도시가스 공급률이 78% 에 이른다. 하동군은 읍을 제외하면 공급 시도도 하지 않으므로 보급률 을 잡는 게 의미가 없는 상황이다. 투자 대비 효율성을 따져 도시가스 공급 정책을 더 이상 추진하지 않 는다면, 면 단위 집단 주거지에 대 해서 취사와 난방 연료 공급 선진 화 정책을 포기하겠다는 의미로 이 해된다.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대한민국의 전반적인 지향점과 일치하는 태도 인지 깊이 고심을 해봐야 하리라고 생각한다.  /진완택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