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산불이 났지만, 진화 지휘를 해야 할 군수님은 출장 중 이었다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 제 18 호
본문
산불이 났지만,
진화 지휘를 해야 할 군수님은 출장 중 이었다
김재영 주간하동 이사
지난 20일 하동군 고전면 신월리 마을 뒷산에서 산불 이 났다. 주민의 실수로 뒷산으로 산불이 옮겨붙은 것 으로 추정된다. 마을 방송과 문자 메시지를 통해서 오 후 3시 20분경 의용소방대 소집이 통지됐다.
나름 복장을 단정하게 채비를 한 군민들이 의용소방 대라는 이름으로 현장으로 달려갔다. 산불이 가파른 바위산을 타고 삽시간에 상층으로 번졌다. 진화대원 의 접근이 어려운 상황이 발생했다. 불길을 잡기 위한 움직임이 분주해졌다.
하지만 산불 진화를 진두지휘해야 할 군수는 현장에 보이지 않았다. 이날은 실효습도가 낮은 데다 전국적 으로 바람이 세차게 불어 산불에 대한 경계심이 컸 던 날이다.
현장에는 부군수가 지휘를 맡았다. 인력과 도구로는 진화가 불가능하다고 판단한 하동군이 헬기를 요청하 기 시작했다. 경남도가 임차한 헬기 4대와 함양 국유 림 소속 헬기 6개 등 10대의 헬기가 출동했다.
하지만 산불이 발생하고 헬기를 부르고 실제 헬기가 현장까지 도착하는 데 거의 2시간이 걸렸다. 불길은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진 상태였다.
이날 산불은 밤샘 진화를 했지만, 이튿날 오전까지 잔 불 정리에 애를 먹었다. 불길을 완전히 잡았다고 생각 했으나 거의 이틀 정도 잔불이 커졌다 꺼지기를 반복 했다. 산림은 거의 10헥타 이상 탔다. 마을 뒷산에 난 산불치고는 적지 않은 피해 규모다.
산불이 난 뒤 하루가 지나고도 군수는 나타나지 않았 다. 지난 20일 하승철 군수는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건축박람회에 간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 화재와 같은 대형 재해가 발생하면 자치단체장 은 출장을 중단하고 복귀해서 현장으로 달려간다.
하지만 하 군수는 다음날인 지난 21일 오전 일산킨텍 스에서 열린 지방행정혁신 대상 수상(?) 일정과 오후 화력발전소 관련 차관 주재 회의에 참석한다는 이유 로 끝내 현장에 나타나지 않았다.
산불이 군수가 현장에 있다고 해서 잦아들고, 없다고 해서 더 확산하지는 않을 것이다. 하지만 발화 초기 에 군수가 진두지휘를 해서 체계적으로 잘 대응했더 라면 진화 헬기를 좀 더 조기에 부르고, 소방서와 관 련 기관과의 협력을 신속히 이끌어내는 데 더 효율적 이었을 것이다.
하동군은 “부군수 지휘하에 산불 진화에 차질 없이 대 응했다”고 한다. 하지만 대형 재난이 발생했으며, 그 산불이 밤을 지나서 다음 날 오전까지 계속됐는데도 군수가 현장 복귀를 하지 않았다는 데 대해 어떻게 해 석해야 할까?
하동군청에서 간부로 퇴임한 공무원 출신 A씨는 “재 임 당시 공무 출장 중에 산불이 났다며 복귀하라는 문 자를 받고 수십만 원을 주고 콜택시를 타고 현장에 복 귀하기도 했다”고 밝혔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과장급과 국장급 공무원들도 출장 중에 산불 진화 출동을 받으면 즉시 복귀하는데, 모든 책임을 지고 현장을 지휘해야 할 군수가 ‘강 건 너 불구경 하듯’ 했다는 속담에 비유하며, 이는 상식으 로 이해가 가지 않는다고 입을 모은다.
자치단체장이 중앙정부 및 관련 기관 업무협의, 선진 업무 견학, 각종 행사 참석 등 외부업무 일정과 관내 각종 재난·재해 발생에 따른 군민의 안전과 재산보호 라는 2가지 업무를 동시에 추진하여야 할 상황이 발 생한다면 단체장이 스스로 판단하여 비중이 높고 중 요한 업무를 선택하여 수행할 것이다.
각종 재해 재난 및 사건 사고 발생 시 행정 책임자(임 명직, 선출직) 즉각적인 현장 확인 등 늦장 대응이 심 심찮게 언론에 언급되므로 국민들의 지탄을 받는 사 례가 더러 있다.
앞으로 봄철이 다가오면 산불이 더 자주 발생하게 된 다. 언제 어디서 산불이 발생하고 또 이것이 얼마나 큰 산불로 번질지는 아무도 모른다.
다만 그때그때 최선을 다해서 재난에 대응하는 길밖 에 없다. 대형 재난을 맞아 군민들이 발만 동동구르는 일이 앞으로는 발생하지 않기를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