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섬진강의 눈물, 재첩어민들의 눈물 … 하동군은 무엇하고 있나?

본문

섬진강이 슬피 울고 있다. 섬진강은 화개에서 고전에 이르는 섬진강변 하동인들의 젖 줄이었다. 하류에서는 재첩잡이로 생계를 이어갔다. 화심과 목도, 신월 등지에서는 강 물로 농사를 지어 먹고 살았다. 

하지만 지금은 재첩도 잡히지 않으며, 강물로 농사도 지을 수 없게 됐다. 강물이 소금 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섬진강도 울고 있다. 목도 앞 금두꺼비는 ‘아 옛날이 여’를 외치고 있다. 

금두꺼비는 울부짖는다. 하동 사람들은 섬진강물이 소금물로 바뀌니까 취수장을 더 상 류로 옮겨서 먹는 물을 취수한다고 지적한다. 그러면서 정작 섬진강이 왜 바다화 되어 가는 지에 관해서는 아무런 대책도 마련하지 않는다고 지적한다. 

예전엔 목도 앞 섬진강까지만 닥쳤던 밀물(소금물)이 요즘은 악양은 물론 심지어 화개 앞까지 밀고 올라온다고 주민들은 말한다. 하동읍 일대 섬진강은 소금물로 바뀐 지 오 래다. 재첩잡이는 물론 농사도 불가능하다. 

목도 들판에는 양상추를 비롯해 비닐하우스 시설 재배 농사를 주로 짓는다. 지하수를 퍼울려 수막식 비닐하우스로 겨울철 하우스 내 온도도 유지하고, 재배하는 채소류에 물주기도 한다. 

하지만 요즘은 불가능해졌다. 목도 들판에서 지하수를 파서 그 물을 채소류에 주었다 가는 염분 피해가 발생한다. 채소가 자라기는커녕 다 자랐더라도 말라죽는다. 지하수 에 염분농도가 높아졌기 때문이다. 섬진강뿐 아니라 목도 들판도 항폐화되어 간다. 강 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도 지하수에 염분이 섞여 나온다. 

그렇다고 당장 채소 농사를 포기하고 다시 벼농사로 돌아갈 수도 없다. 목도 농민들이 안전한 농사 대책을 마련해 달라고 목소리를 높이기 시작했다. 지난 5일 영산간유역 청이 시행하고 있는 ‘섬진강 재첩 서식’ 관련 용역 설명회에 목도 농민들이 참석해 염 해 대책을 요구했다. 

재첩 서식 관련 용역은 섬진강의 바다화에 따른 재첩의 서식 환경 조사가 목적이라는 설명이다. 하지만 재첩 어민들은 용역의 목적과 조사, 연구 방법 등에 대해서 근본적 인 문제를 제기하고 나섰다. 어민들과 전혀 논의되지 않은 채 용역이 진행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이런 용역을 왜 하는지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재첩 서식 관련인데 목도 농민들도 반 발하고 나섰다. 상류 댐과 중간 다압 취수장에서 산업단지로 강물을 대량으로 빼 가므 로 해서 발생했다며 강물의 흐름을 도울 유수량(방류량)을 늘려줄 걸 요구하고 있다. 

이날 설명회는 거의 재첩 어민들과 소통되지 못한 채 성과 없이 끝났다. 다만 권익위원 회의 주선으로 ‘어민과 기관 간의 대표자들로 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했다. 앞으로 이 협 의체를 통해 얼마나 재첩어민들과 소통이 원활하게 이뤄질지는 더 기다려 봐야 한다. 

문제는 상황이 이러한데도 하동군은 수수방관만 하고 있다. 아직까지 하동군이 예산을 들여서 ‘섬진강 생태 변화와 재첩 채취 관련한 용역 자료’ 하나 가지고 있지 않다. 그러 니 영산강유역청 등에 하동군민의 보호 대책 요청을 위한 목소리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이날 군민들은 하동군이 예산을 들여서라도 섬진강의 바다화에 따른 종합대책 용역 자 료를 확보할 것을 요구했다. 나아가 재첩어민들이 힘들게 싸우고 있는 걸 보고만 있지 말고 하동군이 함께 나서서 대응해 주길 바란다고 외쳤다. 

다수의 하동군민이 섬진강 때문에 울고 있는데, 하동군은 ‘강건너 불 보 듯 하고 있다’ 는 지적이다. 하동군 행정이 누굴 위해서 있는 건지 군민들은 묻고 있다. 섬진강과 어 민, 농민이 왜 슬피 우는지 답을 해야 할 차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