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소나무재선충 관리에 더 고삐를 죄어야 한다

본문


… 자치단체의 예찰과 벌채 못지않게 주민들의 방역 협력도 중요하다  


경남 도내 소나무 재선충이 다시 확산되고 있 다. 줄잡아 30여 년 전에 해안가를 중심으로 번 지기 시작한 재선충이 초기에는 빠르게 확산되 다가 자치단체와 산림당국이 집중 방역에 나서 면서 감염 면적을 축소시켜 나갔다. 

하지만 근래 2~3년 동안 감염 면적이 또 빠르 게 확산했다. 방역에 소홀했다는 지적도 있지 만 재선충에 대한 경계심이 풀렸기 때문이라는 지적에 무게가 실리고 있다. 

재선충은 워낙 치명적인데다 봄철 우화기에 집 중 방역이 되지 않으면 유충이 소나무 수관으 로 파고 들어가 결국 그 소나무를 고사시키는 고약한 해충이다. 

자치단체는 해마다 10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피해목 실태를 조사해 벌채한 뒤 밀폐 훈증 처 리하거나 현장에서 파쇄 처리하고 있다. 다시 말해 재선충 발생지를 찾아다니면서 박멸에 나 서고 있다. 

하지만 늘 예산 부족에 시달려서 피해지역에 대한 조사에서 빠지는 경우가 발생하는 게 현 실이다. 제한된 예산으로 완벽하게 대응한다는 게 사실상 불가능한 상항이다. 기후 변화도 한 몫을 했을 것이다. 

재선충에 대한 산림지 인근 주민들의 경계심도 많이 흐트려졌다. 재선충은 늘 반복해서 재감 염되면서 확산되고 있으며, 인근에 재선충 감 염으로 벌목한 소나무는 발생하게 마련이다. 당국이 벌채 후 비닐로 덮어서 처리하고 감시 를 강화하고 있지만 주민들이 벌채목을 옮겨서 땔감으로 사용하는 경우를 다 막아내기에는 역 부족이다. 


재선충은 눈에 보이지 않는다. 소나무의 수관속에 들어가 수관을 파먹으면서 성장한다. 

그리고 월동을 하므로 이듬해 나비가 되어 다 시 소나무잎 사이에 알을 낳는다. 재선충 유충 은 다시 소나무 수관으로 파고 들어가 성장한 다. 재선충의 성장주기를 인간의 육안으로 관 찰이 불가능하다.

이러다 보니 재선충을 예사롭게 생각하기 일쑤 다. 나아가 벌채된 소나무가 있으면 별다른 경 계심 없이 가정이나 축사 등지로 옮겨서 화목 용이나 기타 용도로 사용하게 된다.  

당국이 적발하면 모두 수거해 파쇄 조치하고 행위자에 대해서는 수사의뢰하는 등 엄벌에 처 한다. 

하지만 아무리 적발을 위해 노력한다 할지라도 교육이 선행되지 않으면 주민들을 방역에 협조 하도록 유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자발적으 로 재선충에 대한 위험을 알고 당국의 방역 지 침에 따라주도록 수시로 교육해야 한다. 


최근 하동군 청암면에서 A씨가 여러 차례 벌채 된 소나무를 마당에 쌓아 놓고 말려가면서 화 목용으로 사용했다가 인근 주민의 고발로 적발 됐다. 단순히 1회 성이 아니라 여러 번 반복했 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적발되고도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있었다고 하니 상황이 간 단하지 않은 것이다. 청암면에 A씨와 같은 행 동은 언제 어디서든지 나타날 수 있다. 

이런 행동들은 재선충 방역에 대한 명확한 교 육이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인간에게 술 이나 담배의 위험성에 대해 늘 언론매체 등을 통해 외치고 있지만, 금연은커녕 새롭게 술과 담배의 유혹에 빠지는 사람들이 늘어나게 된 다. 

하물며 재선충이야 오죽하겠는가? 조금만 방 심하면 위험성을 잊어버리기 십상이다. 당국이 많은 예산을 들여서 예찰을 하고 또 인력을 들 어 벌채와 벌채목의 처리를 하는 것도 중요하 지만 주기적으로 교육을 함께 진행해야 한다. 

이번에 청암면에서 적발된 사례도 인근 주민들 이 고발하지 않았으면 묻힐 수도 있었을 것이 다. 산림직 공무원의 눈에 띄지 않았다는 것은 공무원들이 재선충 감염목의 유출 감시에 소홀 히 했다는 반증이기도 하다. 

지금은 재선충 피해목 실태 조사 기간이다. 실 태조사도 중요하지만, 주민을 대상으로 재선충 감염목, 벌채된 소나무의 관리 방법, 벌채목의 무단 유출과 화목 용으로 사용하는 데 따른 책 임과 처벌 등에 관한 교육도 병행해야 한다. 

재선충도 일종의 역병이다. 역병은 전염성이 강하므로 공무원의 힘만으로는 대응이 불가능 하다. 주민과 함께 대응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서는 반드시 교육이 필요하다. 재선충 방역에 관한 유인물은 물론 요즘 유행하는 SNS 등의 수단을 통해서 적극 홍보에 나서야 한다. 

교육이나 교육 자료를 만드는 데 필요한 예산 이 당장은 더 덜어갈 수 있지만 조금의 시간만 지나면 교육의 효과가 나타나 전체 방역 예산 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최근 거의 안정기에 접 어든 코로나19도 다 함께 힘을 합쳐 이겨냈다. 하지만 또 언제 유행할지 모르는 질병이다. 늘 경계심을 가지고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재선충도 마찬가지라고 본다. 산림이 우리 삶 에 주는 선한 효과를 계속 얻기 위해서는 우 리 모두 산림을 지키도록 노력해야 한다. 그 노 력의 방향과 방법을 꾸준한 교육을 통해 알려 야 한다. 

이것은 행정당국의 몫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