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화력발전소가 점차 문을 닫는다… 하동군에 미칠 영향은 ?
하동화력본부 2031년 말이면 1~6호기 폐쇄?… 점차 문을 닫는다
- 제 12 호
본문
하동화력본부 2031년 말이면 1~6호기 폐쇄?… 점차 문을 닫는다
하동화력으로부터 하동군이 얻는 경제적 이익은 무엇 무엇인가?
하동화력이 가스발전소로 전환 과정에 기회를 놓친 건 아닌지?
주변 지역 지원이 줄고 지방세수 줄게 된다…대안은 무엇인가?
■ 하동화력본부 2031년 말이면 1~6호기 폐쇄 예정 … 점차 문을 닫는다
기후 온난화가 가속화되면서 전력 생산 방법에도 급격한 변화가 시작됐다. 기존 석탄발전 위주에서 LNG 가스 발전 이나 신재생에너지, 원자력 등 이산화탄소 배출이 적은 친 환경 쪽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하동에 소재한 하동화력(빛드림본부)도 종전 석탄발전소 를 점차적으로 폐지해 나가고 있다. 지난 1997년 상업 운 전을 시작한 1호기와 2호기가 오는 2027년 말부터 폐지된 다. 또 지난 1998년 운전을 시작한 3호기도 2027년 말이 면 폐지한다.
또 나머지 4호기와 5호기, 6호기도 오는 2031년 말까지 점 차 가동을 중단한다. 정부는 기존 화력발전소 폐지와 함께 LNG 가스 발전소로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
하지만 하동에는 기존 화력발전소를 가스발전소로 전환 하는 데 필요한 여건을 확보하지 못해 1호기가 대체지인 안동으로 옮겨 건설된다. 2~3호기도 이전을 진행 중이다. 4~5~6호기는 고양과 용인 등지로 옮겨 가게 된다.
아직 7~8호기에 대해서는 폐지 시기가 결정되지 않았다. 이러한 계획은 정부의 에너지 수급 정책에 따라 다소 달라 질 수 있지만, 일단 하동빚드림본부 산하 화력 발전 시설 은 점차 문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하동화력으로부터 하동군이 얻는 경제적 이익은 무엇 무엇인가?
하동군은 하동빛드림본부로부터 한 해에 지방세로 40여 억 원을 얻는다. 이외에도 주변지역 지원사업비로 53억 여 원이 지원된다. 이 사업비는 발전 용량에 따라 증감한다.
또한 2022년 신설된 자원시설세(도세에서 하동군으로 교 부)로 연간 40억여 원을 얻고 있다.
하동군이 발전소로부터 얻는 이득은 한 해에 100억 원이 넘는다. 또한 점차 줄기는 했지만 600여 명의 발전소 직원 들이 만들어 내는 소비까지 더하면 경제적 파급효과가 결 코 적지 않았다.
하동군은 자체 지방세 수입이 400~500억 원 선이다. 재정 자립도가 10% 선 이다. 농어업이 주산업인 하동군으로서 는 하동화력으로부터 얻는 수익이 지방세 수입에서 차지 하는 비중이 상대적으로 클 수밖에 없다
하동화력 발전소가 점차 폐지해 나가면 이런 경제적 효과 들도 사라지게 된다. 지역인재 채용도 줄거나 없어지게 될 게 빤하다. 이대로 가다가는 하동군의 직‧간접적인 영향 이 이만저만이 아니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밖에 하동 화력발전소가 소득증대 10건을 비롯해 공공 사회복지 24건, 주민복지 6건 등 하동과 남해에 총 53건에 38억 원의 기본지원 사업을 펴고 있다. 전기요금 보조와 육영사업이 포함됐다.
그러나 발전소 8기가 오는 2027년부터 점차적으로 폐지 해 나가게 되면 이러한 사업들도 줄거나 최종 중단될 것 으로 예상된다.
■ 하동화력이 가스발전소로 전환 과정에 기회를 놓친 건 아닐지?
남부발전은 하동빛드림본부의 석탄발전 폐지 수순에 대 응해 석탄발전소를 가스발전소로 전환 계획을 세웠으며, 대송산단에 5만 평 규모의 LNG 발전소 건립 부지 매각을 하동군에 요청했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하동군 과의 의견이 좁혀지지 않아서 결국 무산됐다.
하동군과 협의가 무산된 이유 가운데 남부발전이 감당할 수 없는 요구나 조건이 제시됐던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남부발전 측은 결국 절충안을 찾을 수 없다고 판단해 사업 을 포기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동군과의 협의 불발로 결국 안동과 고양, 용인 등지로 대체 건설지가 결정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당시 하동군 이 무엇을 조건으로 내걸었는지는 공개되지 않고 있지만, 하동화력의 가스발전소로의 전환 기회를 놓친 건 아닌지 아쉬움이 남는다.
결론컨대, 특단의 대책이 마련되지 않는 한, 또한 정부의 에너지 정책이 획기적으로 바뀌지 않는 한, 시간이 지나면 하동화력은 폐지될 수밖에 없다.
하동화력이 하동에 들어선 것은 나쁜 점도 없지 않았지만, 하동군에게는 그간 나름 효자 노릇을 해왔다. 세수 증대 와 경제적 효과 이외에도 당장 수치로 환산할 수 없는 긍 정적인 변화를 가져다 준 것도 있었다.
하지만 지금까지 하동화력과 관련해서 얻었던 기회들이 앞으로 사라지게 될 것으로 예측된다. 지나온 과정이라 되 돌릴 수 없는 일이지면, 하동화력을 붙잡기 위해 그간 하 동군의 노력과 복안 선택은 무엇이었는지 군민들은 질문을 던진다.
■ 주변지역 지원이 줄고 지방세가 줄어들게 된다 … 대안은 무엇인가?
하동화력이 점차 폐지 수순을 밟고 있는 만큼 일정대로라 면 오는 2031년 1호기부터 6호기까지 폐지되면서 발전소 기능이 거의 없어지게 된다. 남은 7~8호기도 앞선 6호기까 지의 과정을 밟을 가능성이 커졌다.
그렇다면 주변지역 지원이 줄고 지방세수가 급격하게 줄 어들게 되면 하동군의 대안은 무엇이냐는 질문에 봉착하 게 된다.
이러한 질문 못지않게 더 큰 과제가 남는다. 대송산단과 갈사산단이 완성되어도 입주기업에 전력 공급을 원활하 게 하기 위해서는 공급처가 가까운 하동화력이 반드시 필 요하다. 하지만 하동화력이 점차 폐지를 진행하면 산업단 지에 필요한 대규모 전력 공급도 여의치 않을 수 있다.
이것이 결정적인 이유가 되지는 않겠지만, 대송과 갈사산 단 기업 유치에도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도 배 제할 수 없다.
정부는 제11차 에너지 수급 정책까지 마련했다. 이 계획안 에 현재까지의 하동화력 폐지 일정이 담겨 있다. 그런 만 큼 정부 에너지 정책이 대대적으로 수정되지 않는 한, 지 금으로서는 하동군이 선택할 수 있는 이렇다할 방안도 없 어 보인다.
다만 남부발전이 하동화력 1~6호기를 폐지하더라도 발전 소 자체를 폐쇄하거나 없애지는 않을 것으로 알려지고 있 다. 앞으로 정부의 정책이 바뀌게 되면 적정한 대응을 위 해서로 알려지고 있다. 하동군이 선택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질지, 또 다른 대안이 기다리고 있을지는 시간이 자나 봐야 알 수 있을 것이다.
/김회경 편집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