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동군,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또는 민자유치 공모 등의 준비”

하동군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준비, 조만간 공모 예정” 밝혀

본문



하동군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준비, 조만간 공모 예정” 밝혀

하동시장번영회주관공청회…‘시장발전현안’ 성과없이끝나

하동군이 하동공설시장에 대한 명확한 미래 비전 제시해야

미래장기비전은하동시장상인들과머리를맞대서마련해야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준비, 조만간 공모 예정


하동군이 “하동공설시장을 재개발하기 위해 그간의 준비 과정을 거쳤으며, 조만간 공모 예정이다”고 밝혔다. “재개발에 따른 형평성이나 법적인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이 같은 내용은, 하동군이 본지 9월 24일 자 발행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된 하동 공설시장, “군수님의 복안은 무엇입니까?”] 제하의 기사에서 “큰 문제는 없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기술한 부분에 대한 반박 자료로 보내왔기에 인용한다. 

이 논란은 지난 9월 10일 하동군이 주관한 하동읍 ‘이동군수실’에서 정경훈 중앙 2동 이장이 질문한 “하동공설 시장의 미래 비전은 무엇입니까”라는 주제의 질문에 대한 답변 과정에서 불거졌다. 

본지 기자는 “군의회에서 주상복합 등의 개발 방안 언급도 있었으며, 그간 법률 검토 등을 거쳤으나 큰 문제가 없었다”고 들었다. 그리고 하승철 군수가 연이어 설명한 내용이 질문자인 정경훈 이장과 참관자들 귀에 쏙 들어오지 않는 내용들이라는 반응(취재)에 터잡아 ‘명확한 입장이 없는가 보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하동군도 당장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구나’ 판단해서 기사(9월 24일 자 발행)를 위(하동군의 요청)의 지적과 같이 보도했다. 

하동군이 공문서를 통해 ‘재개발 준비, 조만간 공모 예정’이라는 주제의 해명과 함께 본지가 먼저 보도한 내용에 대한 정정을 요청하기에 이 지면에 요청 내용 그대로를 인용한다. 


하동시장번영회 주관 공청회 … 시장발전 현안 성과 없이 끝나


지난 9월 26일 오후 알프스영화관(하동극장) 3층에서 시장번영회 주관으로 ‘시장발전 방안 등...?’이라는 주제로 공청회가 열렸다. 

이날 군청이 그간 재개발을 위해 이런저런 방안을 협의한 과정들을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개발 구상 관련 기업 대표 등이 참석한 것으로 파악됐다. 하지만 이날 참석자들 사이에 고성이 오가다가 이렇다 할 의견 교환이나 수렴도 없이 모임이 끝났다.

이날 회의(모임? 공청회?)에 참석한 정경훈 중앙 2동 이장도 “무엇을 주제로 회의를 한 건지, 그리고 회의 내용이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 손에 잡히는 게 없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 주관을 시장번영회가 맡아서 진행하는 게 옳은 것인지에 대해서도 궁금증을 더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하동공설시장 재개발과 관련해서 하동군이 보도자료 등을 통해 그간의 진행 상황을 사전에 충분히 공개한 적이 없었다. ‘본지(주간하동)’도 최근 이동군수실 운영 이후, 그리고 지난달 26일 공청회 참석자 증언을 통해 ‘하동시장의 재개발’ 준비 상황을 명확하게 알게 됐다. 

이에 앞서 하동군은 기재부로부터 23억 원의 기금을 지원받아 하동시장부지를 전부 하동군 명의로 이전했으며, ‘지상권 건축물에 대해서는 재산적 가치가 없는 것으로 판단한다’고 민선 7기 때 밝힌 바 있다. 당연히 건물 소유권도 하동군이 가지게 된 것으로 해석된다. 

하동군은 “입주 상인들의 임차권 소멸 동의 절차는 거치지 않았다”고 밝혔다. 하동군에 따르면, 재개발 추진 준비가 상당히 진행됐는데도 입주 상인들에 대한 대책(임차권 정리)이 마련되지 않았다면, 추후 재개발 진행 과정에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도 있을 것으로 지

적된다. 


하동군이 하동공설시장에 대한 ‘명확한 미래 비전’ 제시해야


하동군은 하동읍 알프스영화관 지하에 주차장 등을 확충했다. 하지만 군민들은 여전히 주차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하동군은 추가 주차장 설치를 위해 공모사업을 신청했지만 선정되지 못했다고 밝혔다. 하동은 농촌 도시여서 주차장이 시장과 조금만 떨어져 있어도, 군민들이 주차 불편을 호소한다. 어느 정도 주차 편의를 확충해야 할지는 하동군이 계속 더 고심해야 할 대목이다. 

하동군은 이러한 문제와는 별도로 ‘하동시장의 미래 비전’을 제시해야 한다. 그리고 이 비전 또는 사업 구상에 따라 장기 또는 단기 사업이나 준비 절차를 밝혀야 한다. 그리고 그 일정도 명확하게 군민들에게 알려야 한다. 물론 입주해 있는 상인들에게는 더 상세하게 알리고 또 필요하면 동의 절차를 밟아야 한다. 그래야만 평생의 생업 터전이었던 하동공설시장의 대변화에 자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 것이다. 

하동군이 방점을 두고 있는 ‘파크골프 연습장’ 개장에 이어 준비 중인 ‘키즈카페’에 대해서도 그 효용성을 일부 인지할 수도 있다. 파크 골프 연습장을 찾는 이용자도 꾸준히 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하동시장의 ‘재개발을 위한 준비와 공모 예정’까지 생각

하고 있다면, 곧 가까운 시기에 시장 건축물 전체를 철거해야 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런데도 파크골프 연습장과 키즈카페 조성에 수억 원의 예산을 쏟아붓는다는 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반응이 많다. 무엇보다 하동군의 이런 행정에 대해 ‘장기적인 미래 비전’에 바탕을 두고 진행하는 예산 투입인지에 대한 궁금증을 더하게 된다.

 

이러한 ‘잔챙이’ 투자들이 아무리 당장 발생하는 시장 이용자와 군민들의 불편을 덜어주기 위한 사업이라고 할지라도, 곧 철거될지도 모르는 시장 안 공간에 수억 원의 예산을 계속 투입하는 것을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그리고 이것이 ‘장기적인 미래 비전’과 어떤 연관을 가질 수 있는지 군민들은 되묻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다시 정리하면, 재개발 구상을 하고 있다고 해서 그것이 곧 미래 장기 비전은 절대로 아니라고 군민들은 지적한다. 또 ‘재개발’ 쪽으로 방향을 잡고, 그것을 비전으로 제시하려면 상인들과 그간 충분한 소통이 먼저 이뤄져야 했었다고 다수의 상인들은 입을 모은다. 

지난 9월 26일 공청회가 그것을 위한 과정이었다면 준비와 진행이 미흡했다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하동공설시장은 ‘여전히 뜨거운 감자’다


하동공설시장은 하동읍민의 최대 관심사다. 인구 급감 시대에 적확한 대응은 물론 디지털 시스템(비대면 거래)에 익숙한 청년층이 많이 찾는 전통시장으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나아가 미래에 충분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구상을 마련해야 한다.

단순히 ‘재건축’을 하겠다는 구상만으로는 하동공설시장의 좋은 미래 대응 방안이 될 수 있을지 의문을 제기하는 군민들이 많은 이유다. 

하동시장의 미래를 구상하는 데는 단순히 일부 의견이나 용역 자료 등에만 의존해서는 안 된다. 특히 시장 상인들과 머리를 맞대야 한다. 그래야만 실패하지 않을 대안을 마련할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이는 하동군은 말할 것도 없으며 시장번영회에게도 충분한 가치가 있는 충고임도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김회경 편집국장


정정 및 반론보도 :http://weeklyhadong.com/opinion/44


본지는 지난 9월 24일(7호) 「다시 뜨거운 감자가 된 하동공설시장...“군수님 복안은 무엇입니까?”」 및 10월 8일(8호) 「“하동군,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또는 민자유치 공모 등의 준비”」 제목으로 하동군이 하동공설시장 재개발에 미온적 태도를 보이고 있으며 하동군이 입주상인 대상 임대차 소멸 동의작업을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는 등의 내용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그러나 사실 확인 결과, 지난 9월 10일 하동읍 이동군수실에서 하승철 하동군수가 하동공설시장 재개발 관련 “큰 문제는 없지만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다”고 발언한 사실이 없으며, 하동군이 ‘임대차 소멸 동의작업’이라는 행정행위를 진행한 바 없는 것으로 밝혀져 바로 잡습니다.

또한 “주차장 확대를 위해 2022, 2023년 주차환경개선사업을 신청했으나 사업 기준에 부합하지 않아 선정되지 못한 것일 뿐 하동군이 아무런 대처를 하지 않았다는 보도는 사실과 다르다”라고 밝혔습니다.

한편, 하동군은 “하동군수는 하동공설시장 재개발을 준비하고 있고 공모 실시 계획 이라는 입장을 명확히 밝힌 바 있다”면서 “공설시장 내 스크린골프장 개장 후 이용 고객이 매달 증가하는 등 상권 활성화에 도움이 되는 것을 확인하고 키즈카페 조성을 추진 중이며, 두 시설 모두 현대화 사업으로 철거 가능성이 있어 이동 재설치 가능하도록 조치했으므로 불필요한 예산 투입이라 볼 수 없다”는 입장을 알려왔습니다. 이 보도는 언론중재위원회의 조정에 따른 것입니다.